[재경일보 안진석 기자] 맞벌이 가구가 비(非)맞벌이 가구보다 흑자규모가 크고 상대적으로 소비지출도 적어 맞벌이를 해봤자 외식비 지출 등으로 쓰는 돈이 많아 남는 게 없다는 통념은 사실과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물론 지출 규모가 크기는 했지만 그것을 상쇄하고도 남을만큼 소득이 더 많았다.
11일 통계청이 내놓은 가계동향에 따르면, 3분기에 맞벌이 가구는 월 513만8000원을 벌고 387만9000원을 써 125만9000원이 남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맞벌이가 아닌 가구는 한달 소득 356만원에 흑자 규모는 66만3000원으로 조사돼 맞벌이 가구의 흑자 규모가 비맞벌이 가구의 거의 2배 수준인 것으로 드러났다.
비맞벌이 가구에는 외벌이 가구뿐만 아니라 부자 또는 모자가 돈을 버는 가구, 무직 가구도 포함됐지만 그래도 흑자 규모는 큰 수준이다.
또 맞벌이 가구의 평균소비성향은 69.7%로, 비맞벌이의 77.0%보다 7.3%포인트나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절대소득이 크기 때문에 처분가능소득에서 소비하는 데 쓴 돈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적었다는 뜻이다.
맞벌이 가구의 평균소비성향은 관련 통계가 작성된 지난 2003년 이래 항상 비맞벌이보다 작았다.
이처럼 맞벌이 가구의 가계 형편이 전반적으로 비맞벌이 가구에 비해 훨씬 좋음에도 불구하고 남는 게 없다는 생각이 드는 것은 교육비와 외식비 등 체감도가 큰 항목에서 지출되는 돈이 많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맞벌이 가구의 전체 소비지출 규모는 비맞벌이 가구의 1.31배인데, 교육에 쓰는 돈만 보면 맞벌이 가구가 비맞벌이 가구의 1.65배에 달해 맞벌이 가구가 그만큼 더 많은 돈을 교육에 투자하고 있다.
특히 사교육비에서 차이가 두드러져 입시ㆍ보습, 개인과외 등을 포함한 지출항목인 '학생학원교육'에 맞벌이 가구가 지출한 금액은 22만2000원으로 비맞벌이 가구(14만1000원)의 1.58배였다.
대학교육 지출에서 격차도 커 전문대 이상 대학(원) 등록금액인 '고등교육'에서 맞벌이 가구의 지출액이 비맞벌이 가구의 1.95배에 달했다.
맞벌이 가구가 비맞벌이 가구에 비해 외식하는 경우도 잦아 일반 식당, 배달 음식 등에 쓴 돈을 뜻하는 '식사비'로 맞벌이 가구는 한달에 38만2000원을 써 비맞벌이(27만원)의 1.41배 수준이었다.
이밖에 맞벌이 가구가 자동차 구입(1.96배)과 운송기구연료비(1.46배)에서 비맞벌이 가구보다 지출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