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연말정산 혜택 큰 체크카드 발급 1억장 첫 돌파

[재경일보 전재민 기자] 경기 불황이 장기화되고 있는 데다 연말정산 소득공제율이 신용카드보다 높아 회사원들의 폭발적인 인기를 끌고 있는 체크카드가 처음으로 발급 1억장을 넘어섰다.

새 정부는 내년에 가계 부채 대책에 집중할 예정이라 저신용자를 양산하는 신용카드 대신 체크카드가 카드 시장을 주도할 것으로 보인다.

체크카드는 은행 계좌에 입금된 돈만 쓸 수 있는 카드다.

26일 카드업계에 따르면, 올해 11월 말까지 체크카드는 총 1억20여만장이 발급됐다.

체크카드는 지난해 말까지 8975만장 발급됐지만 불과 1년 만에 1045만장이 늘었다.

신용카드가 11월 말까지 1억2000여만장으로 추정되고 있고 이 중 상당수가 휴면카드 자동 해지로 감소할 것으로 보여 내년 상반기 중에는 체크카드 발매 수가 신용카드를 처음으로 앞지를 것으로 보인다.

올해 체크카드 시장이 급성장한 것은 금융당국이 가계 부채 축소를 위해 신용카드 발급을 억제하면서 체크카드 발급을 활성화하는 정책을 편 데다 은행계 카드사들도 체크카드 발급 경쟁에 나선 것이 큰 역할을 했다는 평가다.

연말정산 때 체크카드 소득공제율이 30%로 신용카드(25%)보다 높은 점도 회사원들의 관심을 끈 것으로 보인다.

또 경기 침체로 가계 형편이 어려워진 서민층이 신용카드 대신 체크카드를 선호한 점도 영향을 미쳤다.

체크카드가 카드 시장의 대세로 굳혀지면서 대형 카드사들의 움직임도 빨라지고 있다.

체크카드 부문 1위인 KB국민카드는 24일부터 본인의 계좌에 입금된 돈 외에 월 30만원 한도에서 신용 결제가 가능하도록 체크카드에 소액신용결제서비스를 도입했다.

국민카드 관계자는 "체크카드를 쓰다 보면 본인 계좌 돈이 부족해 결제에 어려움을 느끼는 경우가 있어 결제 편의성 증대를 위해 신용이 입증된 고객에 한해 30만원까지 신용으로 결제할 수 있도록 했다"고 밝혔다.

하나SK카드도 체크카드 이용 중 결제 계좌의 잔액이 부족할 때 소액 신용 한도로 월 최대 30만원까지 결제할 수 있는 서비스를 출시했다.

이처럼 체크카드 시장이 급성장하면서 수수료율을 합리적으로 조정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최근 여신전문금융업법 개정에 따라 신용카드 가맹점 수수료율이 평균 2.1%에서 1.9%로 하향 조정됐으나 체크카드는 조정 대상에서 제외됐다.

삼성카드와 같은 대형카드사의 체크카드 평균 수수료율은 영세 가맹점이 1.0%지만 일반가맹점은 1.5~1.9%로 미국(0.7%), 캐나다(0.2%)에 비해 매우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