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경일보 이호영 기자] 지난해 서울에서 커피전문점과 편의점 등이 증가한 반면 PC방과 부동산중개업 등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는 작년 2월15일부터 3월10일까지 실시한 2012년도 사업체 조사 결과, 2011년 말 현재 종사자 1인 이상 사업체 수는 총 75만2285개로 전년(72만9728개) 대비 3.09% 증가했다고 9일 밝혔다. 이는 전국 사업체의 21.68%가 서울에 있는 셈이다.
종사자 수는 449만8312명으로 전년(449만81명)에 비해 0.18% 증가했으며, 전국의 사업체 종사자(1809만3190명)의 24.86%였다.
업종별로는 도ㆍ소매업, 숙박ㆍ음식점업, 운수업이 전체 사업체의 절반 이상인 56.76%(42만6967개)를 차지했고, 한식당(4만7873개), 부동산자문 및 중개업소(2만2644개), 기타 주점업(1만9113개), 두발미용업(1만5269개) 등이 뒤를 이었다.
전년 대비 증가율은 커피전문점을 포함한 비알콜 음료점업(20.1%, 1573개)이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고, 한식 음식점업이 1.94%(913개), 체인화 편의점이 18.64%(793개) 뒤를 이었다.
반면 용달 및 개별화물 자동차운송업은 3.88%(1378개) 줄었고, 기타 음ㆍ식료품 위주 종합 소매업(633개, 5.12%), 컴퓨터 게임방 운영업(254개, 7.19%) 등은 감소했다.
지역별로는 중구, 강남구, 송파구 순으로 사업체가 많았고 도봉구는 가장 적었다.
사업체의 전년 대비 증가율은 강남구(8.40%), 금천구(6.41%), 서초구(6.15%) 순으로 많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고, 영등포구(1.19%), 동작구(0.30%), 관악구(0.62%) 순으로 감소했다.
산업별 종사자 수는 도ㆍ소매업(78만6971명, 17.49%), 숙박 및 음식점업(41만 7162명, 9.27%), 전문ㆍ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38만9581명, 8.66%) 순이었다.
업종별 평균 종사자 수는 전기ㆍ가스ㆍ증기ㆍ수도사업이 100.64명으로 가장 많았고, 공공행정ㆍ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97.48명), 사업시설관리 및 사업지원 서비스업(28.78명) 등이 뒤를 이었다.
규모별로는 4인 이하 소규모 사업체에 111만4922명(24.79%), 10~49인 규모 사업체에 98만175명(21.79%), 300인 이상 대규모 사업체에 97만698명(21.58%)이 종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성별로 보면 여성이 187만9230명으로 전년 대비 1.03% 증가한 반면, 남성은 261만9082명으로 0.41% 감소했다.
여성의 종사상 지위는 상용종사자 122만8548명, 임시 및 일일종사자 24만7827명, 자영업주 22만5108명 순이었다.
대표자가 여성인 사업체는 24만5869개로 전년보다 3.67% 증가하면서 전체 사업체의 32.68%를 점유했다.
산업별 여성대표자 비율은 숙박 및 음식점업(58.64%), 교육 서비스업(51.87%), 협회ㆍ단체 및 수리ㆍ기타 개인 서비스업(43.41%) 순이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