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명문대 알바생 1000명 등친 휴대전화 사기 일당 수사

[재경일보 이영진 기자] 명문대 학생들을 '학습 멘토'를 하는 아르바이트생으로 모집해 휴대전화를 개통하게 하고는 휴대전화 판매 보조금(리베이트)을 챙겨 달아난 일당에 대해 경찰이 수사에 나섰다.

서울 수서경찰서은 홍모(24·연세대)씨 등 대학생 30여명이 권모(35)씨 등 일당을 사기 및 사문서위조 혐의로 고소했다고 9일 밝혔다.

피해자들은 주로 서울대·고려대·연세대 등 명문대 재학생들로, 그 수가 1000명에 달한다고 학생들은 주장하고 있다.

대학생들은 휴대전화 기기값 80~90만원과 통신비, 월 12만원의 월급마저 들어오지 않아 100여만원의 손해를 떠안게 됐다고 주장했다.

피해자들에 따르면, 권씨 일당은 지난해 9월부터 입시 관련 인터넷 카페를 개설하고서 중고교생들을 대상으로 대학입학 및 학습상담 아르바이트를 하기를 원하는 명문대생을 아르바이트 직원으로 모집했다.

이들은 지원자를 서울 강남구의 사무실로 불러 면접까지 치른 것으로 전해졌다.

아르바이트 학생이 할 일은 인터넷상에서 '좋은 대학에 입학한 비법'이나 '대학 지원 전략' 등과 관련해 중고생을 상대로 학습지도와 고민상담을 하는 것이었다.

이들은 하루에 게시글 3개와 댓글 15개를 일주일에 3번씩 남기면 매달 15일 12만원의 '월급'을 받기로 했다.

다른 명문대생을 데려오면 학교에 따라 3만원에서 많게는 10만원의 소개비도 받았다.

이후 권씨는 학생들 명의로 휴대전화를 개통하게 한 뒤 판매 보조금을 챙겨 달아난 의혹을 받고 있다.

권씨 측은 "전화상담을 하려면 업무용 스마트폰이 필요하다"며 "본인 명의로 개통하되, 휴대전화 요금과 기기값은 모두 입금해주겠다"고 말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권씨 일당은 다단계 방식으로 아르바이트 회원을 늘린 뒤 아르바이트 채용 당시 건네받은 주민등록증 사본으로 1000여대의 휴대전화를 개통, 대리점으로부터 판매 보조금 일부를 챙겨 달아났다.

피해자들은 "지급하는 스마트폰으로 일해야 업무 시간을 체크할 수 있다. 기기값과 통신비는 모두 회사에서 대납한다"는 말에 속아 순순히 명의를 빌려줬다고 전했다.

지난달 권씨 일당이 돌연 종적을 감추면서 해당 인터넷 카페에서는 '사기를 당한 것 같다' 피해자의 글이 속속 올라왔다.

서울대에 재학 중인 최모씨는 "권씨가 챙긴 리베이트비가 대당 100만원이라는 얘기도 있다"며 "휴대전화 대리점과 짜고 브로커 노릇을 한 것 같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대리점 측은 3개월 후에 나오는 리베이트를 앞당겨 권씨 일당에 지불해 자신들 역시 피해자라고 주장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600여명으로 꾸려진 피해자 모임은 인터넷 카페에서 대책을 논의하고 있다.

최씨는 "비싼 등록금에 푼돈이라도 벌려고 했다가 감쪽같이 속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