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경일보 이영진 기자] 경기도의 주민등록상 인구가 꾸준히 늘어나면서 작년 말 현재 처음으로 1200만명을 돌파했다.
반면 서울은 인구가 2년 연속 줄어들면서 경기도보다 190만명 가량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전국의 주민등록인구는 5094만8272명으로 2011년 말 대비 21만3988명 증가했다.
21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작년 말 현재 경기도의 주민등록상 총 인구는 1209만3299명으로 2011년 말에 비해서 15만5884명 늘어나면서 연말 기준으로 처음으로 1200만명을 넘어섰다.
이는 서울시 인구 1019만5318명에 비해 189만7981명 많은 것이다.
경기도 인구는 지난 2003년 말 1020만6851명으로 1000만명을 처음 돌파하면서 서울시 인구를 넘어선 후 계속 인구가 늘어나 서울시와 격차를 벌이고 있다.
반면 서울시 인구는 지난 2003년 1017만4086명으로 경기도에 추월당했으며, 특히 2010년 이후 2년 연속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경기도 관계자는 "경기도는 서울에 비해 인구가 200만명 가까이 많고, 면적은 17배인데도 경찰은 서울의 3분의 2, 공무원 수는 4분의 1 수준이어서 인구증가에 따른 행정이나 치안수요를 못따라가는게 문제"라고 말했다.
경기도 내에서도 특히 수원시의 인구 증가가 눈에 띈다.
수원시의 작년말 기준 인구는 전년보다 3% 정도인 3만1769명 늘어난 112만258명으로, 울산광역시(114만7256명)에 육박하며, 특히 100만명 이상 도시 중 주민등록인구 증가율이 가장 가파르다. 수원시는 이에 따라 정부에 준광역시급 행정기능이나 재원을 요구하고 있다.
또 김포시는 두자릿수 증가율을 기록하며 기초지자체 가운데 가장 높은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서울과 경기, 인천을 합친 수도권 주민등록인구는 2513만2598명으로 2011년 말에 비해 14만4230명 늘었다. 전국 주민등록인구 중 수도권 인구 비중은 49.3%로, 절반에 육박한다.
전년대비 주민등록인구 증감률을 광역자치단체별로 보면, 인천광역시가 1.52%, 경기도가 1.31%, 제주도가 1.31%, 울산광역시가 1.04% 늘었다.
반면 세종특별자치시 설립으로 충청남도는 3.43%나 줄었으며, 서울시(-0.53%), 부산광역시(-0.35%), 전라남도(-0.25%) 등도 감소했다.
기초지자체별로는 경기 김포시(11.84%)의 증가율이 가장 높았고 수원시 영통구(8.45%), 인천광역시 서구(7.74%), 부산광역시 기장군(5.99%) 등이 뒤를 잇고 있다.
감소율은 충남 공주시(-5.97%), 경남 하동군(-5.87%), 전북 진안군(-5.30%), 경남 남해군(-4.02%) 등의 순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