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경일보 오진희 기자]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2%대로 뛰어오른 60대 이상 연령층의 실업률이 좀처럼 떨어지지 않고 있다.
이는 일자리 공급 악화보다 정부가 지원에 나서고 있기는 하지만 생활고를 해소하기 위해 취업전선에 ㅤㄸㅝㅤ어드는 60대 이상 고령인구의 증가로 일자리 수요가 급증해 공급이 수요에 미치지 못하고 있는 것이 원인이다.
전문가들은 베이비부머(1955∼1963년생)가 은퇴세대로 편입하는 등 60대 이상의 인구수가 계속 증가하고 있는 만큼, 이들의 경험을 사회에 환원할 수 있는 일자리 창출을 정책적으로 지원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22일 한국금융연구원에 따르면, 60대 이상 연령층의 실업률은 2008년 미국발(發) 글로벌 금융위기를 극복한 직후인 2010년(2.4%)에 전년(1.4%)보다 1.0%포인트 급등한 이후로 좀처럼 하락하지 않고 있다.
반면 2008년 금융위기가 1998년 IMF 외환위기와 달리 청년층, 장년층, 중년층의 실업률 제고에는 별다른 영향을 주지 않아 유독 60대 이상 노년층만 타격을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60대 이상 연령층의 실업률만 상승한 원인으로 일자리 수요 급증을 꼽았다.
60대 노년층을 위한 일자리는 한정돼 있는 반면, 구직을 원하는 60대 이상의 고령화 인구는 해마다 늘고 있어서 실업률이 높아질 수밖에 없다는 분석이다.
미래에셋은퇴연구소 손성동 상무는 "60대 이상 연령층의 고용환경이 갑자기 악화했다기보다는 경제활동을 하지 않으면 생활이 어려워져 구직에 나선 노인들이 늘어났다"고 풀이했다.
특히 60대 이상 여성의 실업률이 남성보다 가파르게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금융연구원 박종규 선임연구위원 "1998년 외환위기 이전인 90년대 중반에는 60대 이상 여성 실업자 수가 1000명이 채 안 됐지만, 지금은 구직을 원하는 여성 노인들이 점점 늘고 있다"고 설명했다.
노인들의 불안정한 고용상태가 높은 실업률의 원인이라는 분석도 있다.
한국노동연구원 금재호 연구위원은 "2008년 금융위기 때 50대 중년층은 각 기업체의 중견급이었으므로 상대적으로 고용을 보장받을 수 있는 위치에 있었지만 고령층과 여성노동자는 비정규직에 집중돼 실직 피해가 컸다"고 진단했다.
이런 가운데 전문가들은 60대 이상의 실업률이 현재의 2%대 실업률을 계속 유지할 것으로 내다봤다.
박 선임연구위원은 "노년층의 실업률 수치 자체는 낮은 편이지만 다른 연령층과 달리 상승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인구 수도 계속 늘어나고 있으므로 정책적 지원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다른 연령층과 구분된 노년층만의 고용 영역을 확보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미국과 일본 등 선진국들은 노인들이 수십년 간 쌓은 사회경험을 사회에 환원할 수 있도록 노년층의 비영리민간단체(NPO) 활동을 적극적으로 권하고 있는데, 한국도 베이비부머가 은퇴세대로 편입하고 있는 시점에서 이들의 소중한 사회적 경험을 사회에 되돌려줄 수 있도록 정부가 정책적으로 NPO를 활성화하거나 젊은 층은 꺼리지만 노년 층은 잘할 수 있는 육아나 간호 등을 노인 일자리로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