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경일보 이영진 기자] 지난 18대 대통령선거 때 유권자들의 표심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매체는 TV와 인터넷인 것으로 조사됐다.
정보 신뢰도는 TV가 가장 높았으며, 인터넷은 상대적으로 낮아 TV가 대선과 관련해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한국광고협회가 지난해 12월 만 13세 이상 국내 인터넷 이용자 4751명으로 대상으로 조사해 발표한 '2012 KNP(Korea Netizen Profile)' 결과에 따르면, 대선 당시 매체별 영향력은 TV, 유선인터넷, 모바일인터넷 순으로 나타났다.
대선 때 개인 의사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매체(복수응답)로는 응답자의 53.1%가 TV를 꼽았고, 42.0%는 유선인터넷, 35.1%는 모바일인터넷을 들었다.
인쇄물(25.0%), 라디오(23.9%), 옥외광고(15.3%) 등이 뒤를 이었다.
선거정보를 접하는 통로도 TV(72.7%), 유선인터넷((64.0%), 모바일인터넷(46.7%)의 비중이 컸다.
정보의 신뢰도는 TV(52.7%)가 가장 높은 반면 유선인터넷(38.5%)과 무선인터넷(32.9%)은 상대적으로 낮아 대선 정보 노출도와 신뢰도 격차가 유선인터넷이 25.5%포인트로 매체들 가운데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넷 매체별 영향력은 인터넷뉴스,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인터넷뉴스댓글 순이었다.
KNP 조사는 인터넷 사용 현황과 광고 선호도를 파악하기 위해 2001년부터 매년 실시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