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환율갈등·기업신용위험 5대 금융시스템 리스크에 포함"

[재경일보 이형석 기자] 금융전문가들은 1년 내에 금융시스템의 리스크가 발생한다면 원화절상으로 인한 환율갈등과 기업신용 위험이 주 요인이 될 것으로 전망되면서 5대 핵심 금융시스템 리스크에 포함됐다.

한국은행은 18일 77개 금융기관의 전문가 90명을 상대로 1월 중순 시행한 `시스템적 리스크 서베이 결과를 발표하며 이같이 내다봤다.

시스템적 리스크란 금융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상태를 말하는 것으로, 1997년 IMF 외환위기 때처럼 환율, 주가 등 각종 변수가 요동치며 실물경제에 심각한 파급 효과를 미치는 상황을 말한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금융전문가들은 우리나라 금융시스템의 5대 핵심리스크(리스크를 5개씩 꼽은 후 합계를 응답자수로 나눠 계산)로 가계부채 문제(82.2%)를 비롯해 환율갈등(57.8%), 주택가격 하락(56.7%), 기업신용위험 증가(53.3%), 유로존(유로화 사용 17개국) 위기(52.2%) 등을 지목했다.

지난해 7월 조사 때 5대 리스크에서 포함되지 않았던 환율갈등과 기업신용위험 증가가 새롭게 포함돼, 지속되고 있는 원화절상과 경기 부진에 대한 우려가 반영됐다.

가계부채 문제(89.2%→82.2%)라는 응답이 여전히 높은 반면 유로존 위기(91.9%→52.2%)라는 답변은 크게 하락했고 중국경제 경착륙과 미국 경기회복 지연은 아예 5대 리스크에서 빠졌다. 중국과 미국 경기상황이 최근 완만한 호조를 보이면서 일단 한고비 넘긴 것으로 판단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새롭게 추가된 환율갈등과 기업신용위험 증가는 1년 이내인 단기 리스크로 지목됐다. 이에 반해 주택가격 하락과 유로존 위기는 중·단기(3년 이내), 가계부채 문제는 중기(1~3년) 리스크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에서는 또 가계부채 문제와 주택가격 하락이 금융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은 크고 발생확률도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국내 조사대상자는 가계부채 문제를 가장 많이 선택한 반면에, 해외조사대상자들은 유로존 위기를 우선적으로 꼽아 대조를 이뤘다.

개별 금융기관이 대응하기 가장 어려운 리스크에 대해선 은행 응답자가 기업신용 위험 상승(63.6%)을, 비은행응답자는 가계부채 문제(76.5%)를 각각 꼽았다. 금융시장 참가자는 환율갈등(51.4%)을, 해외조사대상자는 유로존위기(62.5%)를 선택했다.

이어 이번 조사에서 3년 이내 우리나라에서 금융시스템적 위기가 발생할 가능성에 대해 `낮다'는 의견이 많았다.

단기(1년 이내) 시스템적 리스크가 발생 가능성도 `낮다'라는 응답이 52%로 `높다'는 응답(16.7%)을 능가했다. 중기(1~3년)의 경우는 `낮다'(27.8%)와 '높다'(26.6%)가 비슷했다.

금융시스템 안정성에 대한 신뢰도(향후 3년간)는 44.4%가 `높다'고 응답해 `낮다'(7.8%)는 의견보다 훨씬 많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