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경일보 김유진 기자] 공정거래위원회가 이마트의 공정위 공무원에 대한 접대·관리 의혹과 관련해 조사에 나선 것으로 전해졌다.
내부 감사 차원의 조사지만 부적절 행위가 확인될 경우, 이마트에 대한 당국의 추가 조사 등으로 이어질 수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이마트는 검찰과 고용노동부 조사에 이어 공정위 조사까지 받는 혹독한 시련을 겪을 것이 예상된다.
21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공정위는 최근 이마트가 공정위 공무원을 대상으로 식사 접대나 선물 제공 등 방법으로 지속적으로 관리해 왔다는 폭로와 관련, 진상 조사에 착수했다.
정치권을 통해 공개된 일부 자료에는 이마트 부산 금정점, 대구 만촌점, 대전 둔산점, 광주 상무점 등에서 공정위 지역 사무소를
전담 관리하며 2011년 8월부터 지난해 1월까지 수차례에 걸쳐 공정위 공무원을 접대한 정황이 담겨 있다.
이들은 공정위 직원들에게 100여만원 상당의 식사를 접대하고, 설과 추석 등에는 수십만원 상당의 선물을 제공한 것으로 기록됐다. 공정위 직원들이 매장에서 물품을 구입하면 편의를 봐 준 정황도 드러났다.
공정위의 한 관계자는 "공정위가 감사 차원에서 이마트를 조사중인 것으로 알고 있다"며 "사실상 조직적이고 지속적인 로비 의혹이 터져나온 만큼 그냥 두고 넘어갈 수는 없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이미 검찰과 노동부 조사가 진행중인 상황에서 공무원 관리 의혹에 대한 공정위 조사까지 겹치면 신세계 입장에선 폭발력 있는 '뇌관'이 하나 추가되는 최악의 상황에 직면하게 된다.
신세계 그룹은 이미 최근 방대한 내부 문건이 외부로 유출되며 이마트 노조 설립을 방해하기 위한 직원 사찰 정황을 비롯해 정관계 로비 의혹 등이 잇따라 불거져 도덕성에 타격을 입은 상태다.
이번 조사는 이마트에 대한 감사는 아니지만, 감사 결과 부적절한 접대가 있었던 것으로 확인돼 징계 조치 등이 내려지면 이마트의 공무원 접대 의혹이 사실로 굳어지는 만큼 만만치 않은 타격이 예상된다. 공정위의 추가 조사까지 받을 수 있는 상황이다.
한편, 서울고용노동청은 이미 이달초 이마트 본사와 지점 등 13곳에 대한 대대적 압수수색을 실시하고 광범위한 자료를 이미 확보해 놓고 있으며, 근로감독 시한도 이달말까지로 연장했다.
일각에서는 차기 정권이 '경제 민주화' 드라이브를 강하게 걸고있는 상황을 고려하면 조사 결과의 경중에 따라 당국에 대한 고발이나 조사 의뢰 등 추가 조치가 가능할 수 있다는 예측이 나온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