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대림산업 공장 폭발 사고, 장례절차 논의 시작됐으나 의견차 커 협상 난항

[재경일보 박성민 기자] 17명의 사상자를 낸 전남 여수국가산업단지 내 대림산업 공장의 폭발 사고 희생자들에 대한 보상협의 등 장례절차 논의가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보상협의회는 유가족 측 8명과 회사 측 3명 등 모두 11명으로 구성돼 보상액수와 장례절차 등 협상에 착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양측이 서로 제시하는 금액차가 커 협상에 난항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대림산업 측과 유가족간 폭발사고 원인을 놓고 팽팽하게 대립하고 있다.

유가족과 노조 측은 지금까지 "분진으로 폭발사고가 발생했다는 등 대림산업 측이 사실을 왜곡하고 있다"고 밝혀왔다.

유가족 20여명은 이날 오전 전남 여수시 주삼동 석창 교통센터에서 열린 경찰 브리핑 현장을 찾아 대림산업 측의 반성과 보상문제가 해결되지 않을 경우 장례를 치르지 않겠다는 강경한 입장을 밝혔다.

보상금약 절충점을 쉽게 찾지 못할 경우 장례식이 상당기간 지연될 것으로 보인다.

건설노조 관계자는 "회사 측의 책임있는 사과와 숨진 이들에 대한 진정성 있는 보상 조치가 이뤄질 때까지 발인 시기 등을 늦추기로 유족들과 협의했다"고 밝힌 바 있다.

지난 14일 발생한 폭발사고로 숨진 6명의 사망자 유가족들은 민주노총 건설플랜트 노조 여수지부 등과 협의해 여수시 신월동 여수장례식장에 희생자들을 모두 여수 장례식장으로 옮겨 합동 분향소를 마련한 상태다.

한편, 경찰은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이 두 차례에 걸쳐 현장감식을 벌인 결과 폭발 원인을 저장고의 잔류 가연성 가스와 분진 폭발 외에 열원 접촉에 의한 가연성 가스 폭발 등 3가지로 압축해 수사하고 있다.

국과수의 최종 결과는 보름 후에나 발표될 예정이다.

경찰 관계자는 "국과수 결과와 근로자 등을 진술을 토대로 철저한 수사해 과실 여부가 드러나면 엄정 사법처리 할 방침"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