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김기준 의원, "4대강 담합 조사시 삼성물산·대우건설 은폐의도"

김기준 민주통합당 의원

김기준 민주통합당 의원

[재경일보 박성민 기자] 공정거래위원회가 4대강 사업 2차 턴키 공사 입찰 담합 의혹에 대해 조사에 착수했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공정위는 이날 두산건설, 한진중공업, 삼환기업, 한라건설, 계룡건설 등 5개 건설사에 직원들을 급파해 현장조사 및 직원들의 개인용컴퓨터(PC) 자료 등을 수집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 5개 건설사는 모두 4대강 2차 턴키사업에 컨소시엄 주관사 등으로 참여했다.

보(洑)를 건설하는 1차 턴키공사는 주로 대형 건설사들이 맡았다. 하천환경 정비와 준설 공사가 주를 이루는 2차 턴키공사는 중견 건설사들이 수주했다.

금강 1공구 사업은 계룡건설산업 컨소시엄, 낙동강 17공구는 한진중공업 컨소시엄, 낙동강 25공구는 삼환기업 컨소시엄이 각각 낙찰을 받아 하천환경 정비, 준설 공사 등을 벌였다.

김기준 민주통합당 의원은 "지난해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4대강 사업 2차 턴키 공사 입찰 담합 의혹에 대해 민주통합당 국회의원을 중심으로 강력한 문제제기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소극적 대응으로 일관한 공정위의 태도는 비판받아 마땅한 일"이라며 "입찰 담합 의혹에 대해 조사에 착수했다는 점은 다행스러운 일"이라고 밝혔다.

지난해 정무위 국감에서 김 의원은 입찰금액이 높게 형성되고, 투찰 비율 차이가 거의 나지 않는 점을 들어 4대강 2차 턴키 사업의 입찰 담합 의혹을 강하게 제기한 바 있다.

<
<2012년도 김기준 민주통합당 의원 국정감사 자료> ※주1: 1순위 2순위 업체 간 투찰 비율 차이 (%). 한강/0.06, 낙동강/1.51, 낙동강하구둑/4.04, 영주댐/0.02, 보현댐/0.07 주2: 금액- 단위(백만원)

주요 대상 건설사로는 1차 턴키 사업 때 입찰 담합행위에 참여한 현대, 삼성, 대우, 동부, 코오롱, 한진중공업을 지목했고, 2차 턴키 사업에서 실제로 사업권을 획득한 삼성, 대우, 한진중공업에 대해 철저한 조사를 촉구했었다.

그러나 이번에 공정위에서 조사에 착수한 건설사를 보면 두산건설, 한진중공업, 삼환기업, 한라건설, 계룡건설 등 5개사로 알려지고 있다. 삼성물산과 대우건설은 빠져있다.

이에 대해 김 의원은 "4대강 2차 턴키사업에서 삼성물산은 낙동강 하구둑 증설과 영주댐 건설 사업으로 4320억1400만 원을 수주했고, 대우건설은 보현댐 건설을 1568억5000만 원에 수주한 바 있다"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삼성물산과 대우건설이 빠진 것은 다분히 4대강 입찰 담합 사건 조사를 축소·은폐하고자 하는 의도로 보일 수밖에 없는 대목"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김 의원은 "공정위는 축소·은폐 논란을 불식시키기 위해 조사대상을 확대하고, 철저한 조사에 착수할 것을 재차 촉구한다"고 덧붙였다.

공정위는 지난해 4대강 1차 턴키공사 입찰과 관련해 19개 건설사의 담합을 적발, 공구를 배분하는 담합 행위를 한 8개 대형 건설사에 1115억 원의 과징금을 부과하고 나머지 업체에 시정명령을 내렸다.

공정위 조사에 따르면 19개 건설업체는 지난 2009년 4월 프레지던트호텔과 프라자호텔에서 모임 등을 통해 협의체를 구성했다. 해당 업체들은 4대강 공사 사업을 수주하기 위해 시공능력 평가액 순위 등을 기준으로 업체별 지분율을 배분하는데 합의했다.

한편, 공정위와 함께 국토교통부와 환경부 등도 4대강 사업을 점검할 예정이어서 새 정부가 이명박 정부의 핵심사업이었던 4대강 사업에 대한 전방위로 조사하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