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재경일보 김진규 기자] 동부CNI가 유동성 위기에 봉착하면서 법정관리(기업회생절차) 가능성까지 대두되고 있다.
회사채 차환 발행 계획이 사실상 무산되면서 계열사나 외부의 자금지원에 기대지 않고서는 내달 돌아오는 채권 만기액 500억원을 막을 길이 없어졌기 때문이다.
금융당국은 동부CNI 유동성 문제를 채권단이 도울 수 없다는 입장이지만, 동부CNI가 그룹 지배구조에서 차지하는 위상과 개인투자자 피해를 고려할 때 법정관리 이전에 극적으로 해결책이 도출될 수 있을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27일 금융권에 따르면 채권단과 동부그룹은 동부CNI의 회사채 상환만기 도래를 앞두고 회사 정상화 방안을 협의 중이다.
동부 관계자는 "동부CNI는 담보부사채 발행으로 유동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했지만 결과적으로 길이 막히게 됐다"며 "해결방안을 두고 채권단과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동부CNI는 재무구조개선 계획에 따라 30일을 청약일로 250억원 규모의 회사채를 공모발행할 계획이었다. 다음 달 5일 200억원과 12일 300억원 등 7월에 만기도래하는 총 500억원 규모의 회사채를 차환(재발행)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동부CNI의 차입 구조 상 채권단 구성이 어려워 은행권 여신 비중이 높은 동부제철과 같이 개별 회사 단위로 채권단의 별도 지원을 이끌어내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동부CNI는 지난달 말 기준 총차입금이 2천522억원으로, 가운데 은행대출은 342억원에 불과하고 제2금융권(680억원)이나 공모회사채(1천500억원)의 비중이 크다.
차입금에 대부분 담보 설정이 돼 있기 때문에 채권자들이 부담을 감수하며 공동관리를 통한 지원을 할 유인도 없는 상태다. 채권단 관리에 들어가면 추가 부담만 늘어날 수 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동부CNI의 경우 제2금융권 여신이 워낙 많아 은행으로 구성된 채권단이 지원하기 어려운 구조이므로 동부그룹이 해결해야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