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관광지출이 크게 늘어난 것은 최근 원화 강세에 따른 소비심리 개선으로, 특히 유럽과 일본 여행에 대한 수요가 증가했기 때문이다.
16일 한국문화관광연구원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8월까지의 관광지출액은 131억6,500만 달러로 작년보다 13.2% 늘었다.
이는 최대치를 기록한 작년 연간 지출액 177억7,600만 달러의 74.1%에 해당되는 금액이다.
현재 추세 대로라면 연말까지는 지난해 지출액을 가뿐히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
해외출국자수와 관광 지출액도 나란히 작년보다 늘었다.
8월 우리나라 국민의 해외 관광지출은 18억1,000만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9.1% 늘었다. 해외로 떠난 우리나라 여행자는 9.9% 늘어난 154만7,193명이었다.
또 금년 1월부터 8월까지 해외로 출국한 사람은 1,060만7,860명으로 작년에 비해 5.5% 증가했다.
문화관광연구원 관계자는 “연말 해외여행 수요가 집중되고, 원-달러 환율이 당분간 강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해외여행 지출액은 더욱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편, 8월 관광수입은 14억4,490만 달러로 작년동기 4억 9690만 달러보다 47.4% 늘어났지만 2억6,500만 달러의 관광수지 적자를 냈다. 월간 관광수입으로는 지난 7월 이후 역대 두번째다.
올해 8월까지 누적 관광수입은 113억800만 달러로 작년 동기보다 28.2% 늘어났다.
최근 관광수입의 증가는 무엇보다 요우커(遊客)로 불리는 중국인 관광객의 영향이 컸다.
올해 1월에서 8월까지 한국을 찾은 중국인 관광객은 411만9,337명으로, 작년 동기보다 39.8% 늘어 전체 외래 관광객의 43.7%를 차지했다.
지난 8월에는 중국인(75만7,683명)이 외래 관광객의 52.1%를 차지했다.
이성태 한국문화관광연구원 부연구위원은 “10월에도 개천절 등 연휴로 한국인의 해외관광이 늘겠지만, 국경절 연휴를 맞아 한국을 찾는 중국인들도 대거 증가할 것” 이라고 기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