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은 2일 2월 마지막주 금융시장 동향 종합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내용은 다음과 같다.
<주가>
미국 증시는 美 '14.4분기 GDP성장률 하향조정 등으로 약보합세, 유럽 증시는 ECB의 양적완화(QE) 시행에 대한 기대감, 獨 경제지표 개선 등으로 상승 [2.20일 대비 美↓0.04%, 英↑0.5%, 獨↑3.2%, 佛↑2.5%]
美 '14.4분기 GDP성장률 : +2.2%(속보치 +2.6% 및 전분기 +5.0% 하회)
ECB는 3월부터 국채매입을 포함한 월 600억유로 규모의 양적완화 시행
獨 3월 소비자신뢰지수 : 9.7(전월치 9.3 및 예상치 9.5 상회, '01.10월 이후 최고치 기록)
일본 증시는 엔화 약세에 따른 투자심리 개선 등의 영향으로 상승, 중국 증시는 兩會 개막을 앞둔 기대감, 中 제조업지표 개선* 등으로 상승 [2.20일 대비 日↑2.5%, 中↑1.9%]
中 2월 HSBC 제조업 PMI(잠정치) : 50.1(전월치 49.7 및 예상치 49.5 상회)
국내 증시는 中 제조업지표 개선, 외국인 순매수 등으로 상승 [2.20일 대비 ↑1.2%]
<금리>
美 국채(10년)금리 하락, 국고채(3년)금리 소폭 하락
美 국채(10년)금리는 美 경제지표 부진, 연준의 조기 금리인상 가능성 약화 등으로 하락
국고채(3년)금리는 美 국채금리 하락 등의 영향으로 소폭 하락
<환율>
엔/달러환율 상승, 달러/유로환율 하락, 원/달러환율 하락
美 경제지표 부진에도 ECB의 양적완화(QE) 시행 임박 등으로 엔/달러환율 상승(엔화 약세), 달러/유로환율 하락(유로화 약세)
원/달러환율은 수출업체 달러매도, 외국인 주식 순매수 등으로 하락
<유 가>
원유(WTI)가격 하락
美 주간 원유재고 급증*, 공급우위의 장세 지속 전망 등으로 하락
美 주간 원유재고(전주대비) : +840만배럴(예상치 +400만배럴 크게 상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