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3월 주택매매 전 ·월세 거래 동반 감소…경제여건 불안으로 관망세

지난달 주택매매와 전 월세 거래가 모두 전년보다 두 자릿수 퍼센트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국토교통부(이하 국토부)에 따르면 3월 주택거래량은 7만 7천853건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30.4% 적어졌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이 3만 8천311건, 지방이 3만 9천542건으로 각각 34.2%와 26.3% 주택거래가 감소했다.

△전년대비 주택매매거래량 = 서울 강남(6천424건·-40.9%)과 대구(1천992건·-63.3%), 광주(2천213건·-49.0%) 등 수도권을 뺀 광역시(1만 5천143건·-26.4%)의 주택거래가 큰 폭으로 줄었다.

주택유형별로는 아파트는 4만 9천179건 거래돼 38.0%, 연립·다세대주택은 1만 6천614건으로 12.3%, 단독·다가구주택은 1만 2천60건으로 11.3% 줄었다.

또 올해 1분기(3월까지) 주택거래량도 크게 감소했다.

1분기 주택거래량은 19만 9천483건으로 작년보다 26.1% 줄었으며 최근 5년(2011∼2015년·20만 7천여건)과 비교하면 3.5% 적어졌다.

△전년대비 전 ·월세 거래량 = 3월 전 월세 거래량은 14만 4천865건으로 작년보다 10.4% 적어졌다.

수도권에서 9만 3천747건이 거래돼 12.4%, 지방에서 5만 1천118건이 거래돼 6.4% 줄어들었다.

주택유형별 전 월세 거래량은 아파트가 13.3% 감소한 6만 1천911건, 아파트 외 주택이 8.1% 적어진 8만 2천954건이었다.

임차 유형별로는 전세 거래량이 7만 6천702건, 월세 거래량이 6만 8천163건으로 각각 16.1%와 3.1% 감소했다.

한편 지난달 전세보다 월세 거래가 적게 줄면서 전체 전 월세 거래량에서 월세 거래량이 차지하는 비중(월세 비중)은 47.1%로 작년보다 3.6% 포인트 높아졌다.

실제로 월세 비중은 전월인 2월에 견줘 0.9% 포인트 커졌다.

국토부 관계자는 "3월 주택매매 등의 전년 대비 감소 폭이 큰 이유는 작년에 거래가 많았던 영향이 크다"며 "기준금리 등 경제여건이 아직 불안정해 주택시장에도 관망세가 가시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자세한 통계는 한국 감정원 부동산 통계시스템(www.r-one.co.kr), 국토부 실 거래가 홈페이지(rt.molit.go.kr) 등에서 확인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