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3년 사이 수도권에서 청약이 미달된 단지의 비율은 큰 폭으로 줄었으나 집단대출 규제 이후 단지별 양극화는 심화하는 모양새다.
23일 부동산114 조사에 따르면 올해 1∼8월 12일까지 수도권 내 청약 미달단지의 비율은 18.46%(전체 130개 단지 중 24개 단지)로 나타났다.
수도권 청약 미달단지의 비율은 2010년 56.91%를 비롯해 ▲ 2011년 60.61% ▲ 2012년 48.24% ▲ 2013년 46.09% 등으로 매우 높았다.
그러나 2014년에는 25.50%, 2015년에는 15.90%로 대폭 개선됐고 올해도 투자 수요가 분양시장으로 몰리면서 수도권 단지의 청약 성적이 좋은 편이다.
특히 수도권 가운데서도 서울의 청약미달 단지 감소 현상이 뚜렷했다.
2010년 서울에서 47개 단지가 분양했지만 19개 단지는 청약이 미달됐다. 반면 작년에는 50개 단지 중 단 2곳만 청약 미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도 1월부터 8월 현재까지 전체 23개 분양 단지 중 2개 단지만 청약미달을 기록해 수도권 중에서도 서울의 미달단지는 희소하다.
이는 강서구 마곡지구 이후 재건축 등 정비사업 위주로 신규 물량이 분양되면서 수요에 비해 일반공급 물량이 적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반면 재건축 등 정비사업 중심의 공급이 아닌 신도시나 공공택지 중심으로 분양되는 경기도 일대는 미달단지의 비율이 점차 높아지는 분위기다.
올해 청약 미달한 전체 24개 단지 중 21곳이 경기도에서 분양했다. 경기는 택지지구 공급 중심이어서 전체 가구가 일반에 모두 분양돼 수요 대비 공급이 많았기 때문이다.
부동산114 윤지해 책임연구원은 수도권 청약 미달단지 비율이 줄어든 것은 "정부 규제 완화와 저금리 효과가 맞물려 유휴 자금이 분양시장에 쏠린 결과"라면서 "낮은 청약미달 비율에도 단지별 양극화는 심화하고 있어 수도권 일부 지역은 국지적 공급과잉의 부작용이 예상된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