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초년생 4명 중 3명은 주택 임대료에 부담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높은 임대료를 감당하기 어려운 청년들이 열악한 주거 환경으로 내몰리고 있는 현상에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6일 대통령직속 청년위원회는 지난 8월 만 19~34세 전·월세 세입자 사회초년생(재직기간 5년 미만) 전국 52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사회초년생 주거 실태 및 인식 조사’ 결과 전체 응답자 중 76.4%가 전·월세 비용에 부담을 느낀다고 밝혔다.
사회초년생들의 평균 월세 보증금은 1,215만원, 월세는 35만원으로, 월세를 본인이 부담하는 응답자가 대다수(96.1%)를 차지했으며 월 소득에서 평균 22.0%를 주거비로 지출한다고 밝혔다.
임대료가 높다고 생각하는 것에 비해 청년들의 주거 만족도는, 주거 환경에 만족하는 경우가 37.0%, 불만족하는 경우가 21.0%로 나타났다. 특히 수도권(22.5%)의 불만족도가 비수도권(17.8%)에 비해 높았다. 불만족의 이유는 비싼 임대료(30.0%), 지저분한 집(24.5%), 냉·난방 미비(10.0%), 보안 불안전(9.1%)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실제 이번 설문에 참여한 서울에 거주하는 20대 A 씨(월세 보증금 1,000만원에 월 임대료 50만원)는 “월세는 점점 오르는데 방의 상태가 월세에 비해 제대로 돼 있지 않은 곳이 너무 많다”고 지적했다.
청년들이 주거 환경 개선을 위해 가장 시급한 대책으로 꼽은 것은, 전체 응답자 중 51.0%가 공공임대주택 확대가 필요하다고 응답했으며 주거 보조금 지급 확대(30.5%), 주거비 상한제(13.0%)가 필요하다는 응답자도 많았다.
박용호 대통령직속 청년위원장은 “청년 주거 문제는 단순히 집을 구하는 문제라기보다는 일자리, 결혼·출산 등 전반적인 사회 현상과 맞물려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며 “향후 청년위원회는 행복주택 등을 중심으로 청년 주거지원 정책에 대한 청년들의 인지도를 높여 나가고 젊은 층의 수요 및 생활양식이 반영된 주택 공급을 위해 관계기관과 협의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