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가계부채 문제를 해결하겠다며 대책을 내놨지만 오히려 부동산 시장은 더욱 달아오르고 있다.
시장의 과열이 계속 이어질 경우 강력한 규제 조치가 담긴 추가 대책이 나올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분석이다.
정부가 주택 공급을 줄여 가계부채를 줄이겠다고 나섰지만 공급이 줄면 앞으로 내 집을 마련하기 더욱 어려워질 것이라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기존 집값은 물론 분양시장도 크게 들썩이는 모습이다.
실제로 정부가 대책을 발표한 이후 서울 아파트값은 0.23% 오르며 올해 들어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건설사들이 문을 연 견본주택에도 상담을 받으려는 사람들로 넘치면서 열기가 더욱 뜨거워, 상황이 이렇자 금융위원회는 '8.25 가계부채 대책'의 후속 조치를 최대한 앞당겨 시행하기로 했다.
아파트 집단대출 소득심사는 당장 이번 주부터 강화되고 제2금융권의 담보인정비율을 낮추는 조치도 한 달 앞당겨 다음 달부터 시행되지만, 문제는 가을 성수기를 맞은 분양시장을 중심으로 부동산 시장은 더욱 과열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런 상황이 계속되면 정부가 추가적인 대책을 발표할 가능성이 높은데, 전매제한 강화 등 강력한 조치가 담길지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임병철 부동산114 책임연구원은 "정부의 추가 대책이 예고되고 있어 시장 분위기가 언제든지 바뀔 수 있는 만큼 추가적으로 나오는 규제 등을 살핀 후에 투자에 나서는 것이 바람직해 보인다."며 주택시장에서 수도권과 지방 간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는 만큼 공급과잉의 부작용이 우려되는 곳은 피해야 한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