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구당 세대원수가 줄면서 분양시장에서 중소형 아파트가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이에 따라 건설사들도 소규모 가구에 대한 특화 설계에 나서는 등 발빠르게 움직이는 추세다.
21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아파트 거래량 32만5000여건 중 85㎡미만 중소형 아파트 거래는 26만6000여건으로 82%를 차지했다. 반면 85㎡이상 중대형 아파트는 18%인 5만8000여건에 그쳤다. 가격 상승률도 중소형이 높았다. 부동산114 조사 결과,지난해 전용면적 85㎡ 이하 중소형 아파트 3.3㎡당 평균 매매가격은 863만원에서 919만원으로 약 6.49% 올랐다. 같은 기간 85㎡ 이상은 2.88%의 상승률에 그쳤다.
청약경쟁률도 비슷하다. 올 상반기 서울·수도권에서 분양된 아파트 평균 청약 경쟁률은 전용 60㎡ 이하가 7.97대1을 기록해 가장 높았다. 전용 60∼85㎡가 5.97대1, 85㎡ 초과가 2.90대1을 나타냈다. 규모가 작을수록 더 경쟁이 치열했다.
중소형 아파트의 인기는 1인가구의 증가에 기인한다. 통계청에 따르면 2010년 전체 가구의 23.9%를 차지하던 1인가구의 비중은 지난해 27.1%, 2035년 34.3%로 늘어날 전망이다.
건설사들도 변화하는 아파트 선호도에 맞게 틈새 평형 개발과 수납공간 확대 등을 통해 소규모 가구에 대한 맞춤형 전략을 펼치고 있다.
현대건설과 대림산업 등은 틈새 평형 개발로 2∼3인 가구 수요 확보에 나서고 있다. GS건설은 인구 구조 변화에 맞춰 2인 가구 특화 평면을 개발했다.
자녀들의 분가로 남은 2인 부부를 위한 퍼블릭 공간 중심형과 맞벌이 부부를 대상으로 한 프라이빗 공간 중심형 등 2개의 특화 평면을 개발해 디자인 저작권 등록도 마친 상태다.
부동산 업계 관계자는 “아파트에 발코니 확장 설계가 적용되면서, 중소형 아파트도 충분히 넓은 공간을 누릴 수 있다”며 “유지비용과 세금이 적은 덕에 실수요자들이 중소형 아파트로 몰리는 현상은 꾸준히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