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재건축 시장이 더욱 얼어붙어 버렸다.
정부의 11·3 부동산 대책 이후 약세를 보이기 시작하던 주택시장이 미국발 금리 인상에 더욱 냉각 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일선 중개업소에서는 전세를 찾는 세입자들의 문의만 있을뿐 실거래로 이어지고 있지 않다는 의견이다. 특히 대표적인 투자상품인 강남권 재건축 단지의 중개업소에는 가격 하락에도 불구하고 문의전화조차 한 통 없는 '개점휴업' 상태가 이어지고 있다.
강남구 개포 주공1단지 42㎡는 지난 10월까지 최고 10억6천만원까지 올랐으나 현재 9억5천만원으로 1억1천만원이나 떨어졌지만 찾는 사람이 없다.
56㎡도 최고 14억원까지 갔던 것이 현재 1억원 이상 빠진 12억9천만∼13억원짜리 물건이 나오지만 거래가 안된다.
서울 송파구 잠실 주공5단지 역시 마찬가지여서 잠실 주공5단지 119㎡는 올해 최고 18억원을 호가하다 현재 14억원으로 4억원이 빠졌지만 거래가 안 된다.
서초구 잠원 한신 8차 56㎡는 최고가(9억2천만∼9억3천만원)보다 1억2천만∼1억3천만원 하락한 8억원에 매물이 나오지만 매수세가 없다.
부동산 관계자는 "최근 저금리를 이용해 60% 이상이 대출을 받고 집을 사다 보니 금리 인상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며 "현재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연 3%대 중반∼4%대 초반 선인데 내년 한 해 동안 4% 넘어 5%대로 진입한다면 돈 빌려서 집을 사기 힘들기 때문에 주택시장에 커다란 부담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전문가들은 부동산 규제·대출 강화·국정 혼란·금리 인상·입주물량 증가 등 '5대 악재'가 겹치면서 당분간 거래 침체, 가격 약세 현상이 지속될 것으로 보고 있다.
국민은행 박원갑 수석부동산전문위원은 "정치적 혼란이 지속되면서 경제의 컨트롤타워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고 있다는 것이 시장의 불안 심리를 키우는 가장 큰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며 "정부 차원에서 시장 경착륙을 막기 위한 세심한 모니터링이 필요해보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