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업체 59%가 4차 산업혁명이 고용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했다. 고용은 정규직 위주로 줄어들 것으로 보는 곳이 많았으며, 업종별로는 석유화학·정제, 자동차, 철강에서 특히 고용 전망이 어두웠다.
한국은행이 25일 발간한 '지역경제 보고서'를 보면 전국 272개 제조업체 가운데 59.0%가 4차 산업혁명으로 고용이 감소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고용이 늘어나리라고 본 업체는 15.4%에 그쳤으며 고용에 영향이 없을 것이란 곳은 25.6%에 머물렀다.
업종별로 보면 석유화학·정제(71.4%), 자동차(68.4%), 철강(62.5%)에서 고용 감소 응답률이 높았다. 반면 정보기술(IT)산업에선 고용 증가 예상 업체가 46.2%로, 감소 전망 업체(19.2%)보다 높았다.
△ 업체 61.8% 정규직 풀타임서 고용감소 예상
'고용 감소'를 예상한 업체 가운데 61.8%는 정규직·풀타임에서, 38.2%는 계약직·임시직·일용직에서 고용이 줄어들 것이라고 예상했다.
4차 산업혁명에 대해 '알고 있다'는 업체는 64.4%로 조사됐다. 이 가운데 50.4%가 '어느 정도 알고 있다'였으며 '잘 알고 있다'는 14.0%에 그쳤다. 4차 산업혁명을 '들어보았다'는 정도로 아는 업체는 33.8%, '전혀 모른다'는 1.8%로 나타났다.
4차 산업혁명이 각 업체에 미칠 영향에 대해서는 57.9%가 '중요하다'고 응답했다. '중요하지 않다'는 28.4%, '잘 모르겠다'는 13.7% 순이었다.
△ 4차 산업혁명 이해도 높을수록 영향 클 것으로 전망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이해도가 높을수록 각 업체에 미치는 영향도 클 것으로 판단했다. 4차 산업혁명에 대해 알고 있다고 응답한 업체의 69.7%, 들어보았다고 응답한 업체의 38.0%가 4차 산업혁명 영향이 중요하다고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4차 산업혁명이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응답한 업체들은 긍정적 영향으로 '생산성 향상'(26.1%), '생산비용 절감'(23.3%) 등을 꼽았으며, 부정적 영향으로는 '신규투자 관련 비용 증가'(39.0%), '경쟁 심화와 수익성 악화'(20.2%) 등을 꼽았다.
4차 산업혁명이 중요하다고 인식한 업체 가운데 25.6%는 이미 대응책을 마련해 시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대응 계획 수립 후 실행 직전 단계인 업체도 12.2%로 나타났으며, 반면 아직 대응 절차를 밟지 않는 업체도 18.6% 있었다.
4차 산업혁명 중요성 인식 업체 중 이미 대응하고 있거나 대응계획을 수립한 업체 비중은 자동차(52.6%), 석유화학·정제(50.0%), IT(42.3%)에서 높게 나타났다. 반면 철강(12.5%), 조선(33.3%), 기계장비(31.3%)에선 그 비중이 절반을 넘지 못해 대응이 미흡한 것으로 조사됐다.
4차 산업혁명의 영향이 중요하다고 응답한 업체들은 대응 과제로서 '생산공정 혁신'(26.2%), 'IT 등 관련 인프라 투자'(22.8%), '내부직원 기술교육'(14.6%) 등을 주로 제시했다.
조사 대상 업체들의 29.9%는 4차 산업혁명 대응에서 '기술 역량 부족'을 애로 사항으로 꼽았다. '핵심인력 확보 애로'(21.3%), '국내 인프라 부족'(17.5%)도 그다음으로 많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