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탈원전 정책 이후 값싼 원전 대신 비싼 액화천연가스(LNG) 발전이 늘면서 한국전력이 6년 만에 최악의 실적을 냈다. 부채는 사상 최고치인 114조5700억원으로 늘었다.
한전은 올 2분기 6871억 원의 영업 손실을 기록했다고 13일 공시했다. 작년 4분기 1294억원, 올해 1분기 1276억 원에 이어 3분기 연속 적자다.
정부가 탈원전(에너지전환) 정책을 시작한 이후 한국전력의 실적이 악화하면서 탈원전이 원인이 아니냐는 주장이 원자력계 등 일각에서 계속 제기되고 있다.
△ 원자력계, 한전 적자 원인은 원전 이용률 하락 때문
원자력계 등이 한전의 적자 원인으로 탈원전을 지목하는 이유는 원전 이용률 하락이다.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해 6월 19일 국내 첫 원전인 고리 1호기 영구 폐쇄 행사에서 탈원전을 선언한 이후 75%를 웃돌던 원전 가동률은 올해 1분기 55%, 2분기에는 63%로 떨어졌다.
정비 때문에 일부 원전 가동을 일시적으로 중단하면서 더 비싼 액화천연가스(LNG)발전 구매량이 늘었고, LNG와 유연탄 등 연료비가 상승한 게 원인이었다.
LNG 가격은 최근 국제유가 상승으로 작년 상반기 기가줄(GJ)당 1만2천400원에서 올해 상기 1만3천500원으로 늘었다. 발전 원가가 더 비싼 전기를 샀는데 전기요금은 그대로면 한전 실적이 나빠질 수밖에 없다.
△ 한전, 연료비 상승, 전력구입비 상승, 감가상각비 상승이 원인
한전 측은 올해 적자 원인으로 발전 자회사의 연료비 상승, 민간 발전사로부터의 전력구입비 증가, 신규 설비투자 확대에 따른 감가상각비 증가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고 설명했다.
실제 올 상반기 유가는 지난해 대비 33% 이상 급등했고, 유연탄 가격도 28% 올랐다. 이에 따라 발전 자회사의 연료비 부담이 1년 전보다 2조 원(26.7%)가량 늘어났다.
또, 원전 정비일수가 2017년 상반기 1080일에서 2018년 상반기 1700일로 대폭 늘어난 점도 적자의 주된 원인으로 꼽았다.
상반기 당기순손실은 1조1690억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조4280억 원 줄었다. 당기순손실이 영업적자보다 큰 것은 한국수력원자력이 월성 1호기 가동 중단에 따른 감가상각비 5600억 원을 2분기 실적에 반영하면서 영업외비용이 늘었기 때문이다.
올여름에는 사상 최악의 폭염으로 전력사용량이 폭증했고 앞으로도 전력사용량은 정부 예상과 달리 늘어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해 하반기 이후에는 원전 가동률이 탈원전 선언 이전 수준으로 회복될 전망이다.
정부는 장기적으로 원전을 줄일 계획이지만 현재 보유한 원전은 최대한 활용한다는 방침이다.정부와 한전은 정비를 마친 원전이 증가하면서 하반기 원전 이용률이 76%로 회복할 것으로 내다봤다.
그러나 한전의 적자는 다른 측면에서 탈원전의 취약점을 드러낸다.
정부의 에너지전환 목표는 발전 비중을 2017년 원전 30.3%, 석탄 45.4%, LNG 16.9%, 신재생 6.2%에서 2030년 원전 23.9%, 석탄 36.1%, LNG 18.8%, 신재생 20.0%로 조정하는 것이다.
정부 계획대로 LNG 발전비중이 증가하면 지금처럼 LNG 가격 변동이 한전 실적에 미치는 영향이 커질 수밖에 없다.
△ 금융계, 3분기 전기금 인하 약3000억 원 한전에 부담
한편, 원전 가동률이 높아지더라도 한전의 흑자전환은 쉽지 않다는 것이 금융투자업계의 시각이다.
정부가 폭염 대책으로 내놓은 전기요금 인하로 인해 3분기에도 3000억 원 이상의 비용 부담이 발생할 것으로 추정된다.
정부가 7일 발표한 주택용 전기요금 누진제 한시 완화로 한국전력의 전력판매 수입이 줄어들기 때문이다. 정부는 일단 한전이 감소액을 흡수한다는 방침이라서 지난 3분기 연속 영업적자를 낸 한전의 실적에 더 부담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전기요금 인하총액이 총 2천761억 원으로 정부가 지원하지 않는 이 금액은 고스란히 한전의 부담이 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