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의 글로벌 매출 가운데 중국 시장이 차지하는 비중이 올 상반기에 30%를 넘어서며 미주 시장을 처음 추월했다.
최근 중국 반도체·스마트폰 업계가 자국 정부의 정책적인 뒷받침을 토대로 세계 1위 업체인 삼성 '타도'를 외치는 가운데 정작 삼성전자는 중국 의존도가 높아지면서 취약성을 드러내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됐다.
20일 업계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삼성전자의 매출액(별도 재무제표 기준)은 총 83조9천217억 원으로, 이 가운데 중국 시장 매출이 32.7%(27조4천102억 원)를 차지한 것으로 집계됐다.
중국 매출 비중은 5년 전인 2013년만 하더라도 18.5%에 그쳤으나 2014년 20.6%로 처음 20%대에 진입한 뒤 2015년 23.4%, 2016년 23.9%, 2017년 28.3%에 이어 올해는 30%를 넘어서면서 계속 상승 곡선을 그리고 있다.
반면 과거 삼성전자의 주력 시장이었던 미주는 2016년 31.8%에 달하는 비중을 차지했으나 지난해 30.2%에 이어 올 상반기는 26.0%에 그치면서 처음으로 중국보다 뒤처졌다.
이는 최근 글로벌 강자로 부상하고 있는 중국 IT업체들이 삼성전자 메모리 반도체 등의 주요 고객사가 된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됐다.
아울러 미국 트럼프 정부를 필두로 한 전 세계적인 보호무역 기조 강화로 인해 과거 스마트폰, TV, 가전 등 완제품을 많이 팔았던 미국과 유럽 시장이 상대적으로 축소된 것도 또다른 요인으로 꼽혔다.
실제로 삼성전자가 최근 공시한 반기 보고서에 따르면 올 상반기 5대 매출처에 중국 스마트폰 생산업체인 중국 화웨이가 처음으로 포함됐다.
이외에 미국 애플과 버라이즌, 독일 도이치텔레콤, 홍콩 테크트로닉스 등이 이름을 올렸다. 올해 상반기 삼성전자 매출 가운데 이들 5개 업체가 차지한 비중은 11%에 달했다.
2016년과 지난해에는 5대 고객사가 미국 애플 외에 미국 베스트바이·스프린트·버라이즌과 독일 도이치텔레콤 등 이동통신사 및 유통업체였으나 올해 들어서 중국계 IT 업체가 2개나 등장한 것이다.
화웨이는 올해 2분기에 미국 애플을 제치고 전세계 스마트폰 시장에서 점유율 2위를 차지하며 선두 삼성전자를 바짝 추격했다. 삼성전자로서는 화웨이가 주요 경쟁업체인 동시에 주요 고객사가 된 셈이다.
업계 관계자는 "삼성전자가 오랜기간 애플에 반도체와 디스플레이를 공급해 온 것처럼 IT 업계에서는 경쟁업체와 협력업체를 구분하는 게 큰 의미가 없다"면서 "특히 삼성전자는 완제품과 부품을 동시에 생산하는 종합 IT 기업이어서 이런 양상은 계속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그러나 중국 업체가 삼성전자의 주요 고객사가 됐다는 것은 잠재적인 위협 요인이 될 수 있다는 지적도 있다.
가뜩이나 중국이 이른바 '반도체 굴기'를 외치며 반도체 산업에 대한 대규모 투자에 나서고 반독점 조사로 압박 수위를 높이는 가운데 삼성전자의 중국 의존도가 높아지면서 경우에 따라 매출 기반이 흔들릴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다른 한편에서는 화웨이가 주요 매출처가 되고 중국으로부터 집중 견제를 받는다는 것은 그만큼 삼성전자의 경쟁력을 방증한다는 평가도 나온다.
재계 관계자는 "미중 양국이 기존의 국제 무역질서를 무시하고 비이성적인 '통상전쟁'을 벌이는 과정에서 중국 의존도가 높아진 삼성전자가 유탄을 맞을 가능성이 있다"면서 "신성장 동력 확보와 기술 초격차 유지가 '1위 수성'의 관건"이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