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뉴욕증시, 연준 기대 상승…S&P500·나스닥, 5개월래 최고 마감

뉴욕증시에서 주요지수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를 앞두고 정책 완화 기대에 상승했다. 18일(미국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65.23포인트(0.25%) 오른 25,914.10에 마감됐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10.46포인트(0.37%)상승한 2,832.94,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25.95포인트(0.34%) 오른 7,714.48에 장을 마쳤다.

미국과 중국의 무역협상 낙관론이 일며 지난주 큰 폭 올랐던 뉴욕증시는 상승 흐름을 이어갔다.

이번 주 3월 FOMC라는 굵직한 이벤트를 앞두고 다시 하락한 보잉이지수에 부담을 줬지만, 강하게 오른 애플을 비롯한 블루칩들이 이를 상쇄하며 다우지수는 4거래일 연속 올랐다. 다우지수 종가는 지난 1일 이후 가장 높다.

S&P500과 나스닥 지수도 지난해 10월 9일 이후 가장 높은 수준에서마감됐다.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19~20일에 FOMC 회의를 연다. 금리는 동결될 것으로 예상하는 만큼 점도표와 자산조정에 관심이 쏠린다.

연준 금리 전망을 엿볼 수 있는 점도표는 올해 한 번 인상, 2020년에는 한 번 이상으로 하향 조정될 것으로 시장은 예상한다. 점도표가 하향 조정되면 올해 연준의 추가 긴축 가능성은 더욱 낮아진다.

연준이 올해 1월 회의에서 금리를 올리는 데 인내심을 갖겠다는 신호를 준 뒤 뉴욕증시 상승세가 가팔라진 만큼, 이번 회의를 통해서도 긴축 부담을 더 덜어 주가가 오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 연준이 대차대조표 축소와 관련해 구체적인 내용은 발표하지 않더라도 올해 자산 축소를 끝낼 것이라는 점은 공식 발표할 것으로 전망된다.

일부에서는 비둘기 연준 기대가 큰 만큼, 조금이라도 시장 기대에 미치지 못하면 실망을 줄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국제유가 상승에 에너지 주와 연준의 완화 정책 기대에 금융주가 1% 이상씩 올랐다.

저점을 다지며 반등을 모색했던 보잉 주가는 다시 1.77% 하락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FF 금리선물 시장은 올해 3월 25bp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을 0.0%, 인하 가능성을 1.3% 반영했다. 시카고옵션거래소(CBOE)에서 변동성지수(VIX)는 전 거래일보다 1.71% 상승한 13.10을 기록했다.

뉴욕증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