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장마, 코로나19에 웃는 가전제품들…”여름인데 에어컨은 웁니다“

주요 가전 제품들이 지난 달 말부터 쏟아진 물폭탄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속에서 희비가 엇갈렸다.

예년보다 길어진 장마에 제습 가전 매출은 크게 올랐고 여름이 성수기인 에어컨 등 냉방 가전은 판매가 부진한 모양새다.

12일 이마트에 따르면 제습기 매출은 지난달 1일부터 이달 11일까지 작년 같은 기간 대비 104.3% 늘었다.

롯데하이마트가 지난달 말부터 이달 초까지 일주일간 판매된 제습기, 건조기, 의류관리기의 매출액은 작년 같은 기간보다 평균 50%가량 증가했다.

의류관리기가 작년 같은 기간에 비해 110%, 건조기 60%, 제습기는 20%가 각각 늘었다.

롯데하이마트 관계자는 "폭우가 내리는 기간이 많아지면서 에어컨 판매가 줄어든 대신 제습기를 포함한 제습 가전 판매가 예년보다 크게 늘었다"며 "지난달부터 이달 현재까지 판매가 꾸준하다"고 말했다.

이마트에서 팔고 있는 제습기 [이마트 제공
이마트 제공

이베이코리아가 운영하는 온라인 쇼핑몰 옥션에서도 최근 한 달(7월 10일~8월 9일)간 제습기 매출이 지난해 동기와 비교해 114% 급증했다.

이 밖에도 신발살균건조기(146%), 의류 건조기(59%), 식기세척건조기(80%) 등 습기를 없애는 생활가전 매출이 옥션에서 크게 늘었다.

반면 여름에 잘 팔리는 냉방 가전은 장마에 따른 판매 감소로 고전 중이다.

이마트에 따르면 지난달 1일부터 이달 11일까지 에어컨 매출은 작년 동기 대비 24.7% 감소했다.

옥션에서도 7월 10일~8월 9일 한 달 간 에어컨 매출이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46% 줄었다. 선풍기와 서큘레이터도 각각 50%, 47% 감소했다.

삼성전자와 LG전자, 위니아에이드 등 주요 에어컨 제조업체의 지난달 판매 실적은 작년 7월을 크게 밑도는 것은 물론, 올해 6월 실적에도 못 미쳤다는 게 업계의 관측이다.

유통업계의 한 관계자는 "에어컨 성수기가 6, 7월인데 그중에서도 통상 7월이 6월 판매량의 1.5배에 달할 정도로 판매가 몰리는 시기"라며 "올해 7월이 유독 덥지도 않고 집중 호우를 동반한 유례없이 긴 장마가 이어지며 에어컨 판매가 매우 부진하다"고 말했다.

가전업계는 이달 중순에 장마가 끝나면 무더위가 찾아오면서 에어컨 판매가 다소 증가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7일 서울 용산구 롯데하이마트 용산아이파크몰점에서 시민이 에어컨을 둘러보고 있다. 가전업계는 연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등으로 부진했던 에어컨 판매량이 정부의 으뜸효율 환급 사업과 '대한민국 동행세일' 행사까지 더해지며 4년 연속 '250만대' 판매를 관측하고 있다. 2020.7.7

한편 코로나19 영향으로 재택근무와 온라인 개학 등 PC 수요가 증가하면서 PC와 TV 판매량도 크게 늘었다고 전자랜드는 밝혔다.

올해 2월부터 지난 6일까지 PC 판매량은 전년 동기대비 56% 증가했으며 TV 판매량도 같은 기간 11% 늘었다.

PC는 코로나19 영향으로 재택근무 및 온라인 수업이 확대되면서 판매가 늘었고 TV는 공연과 콘서트 등 밀집지역에 대한 기피로 집안에서 즐기는 생활문화가 자리잡으면서 매출 상승으로 이어졌다.

전자랜드 관계자는 "올해는 해외여행에 지출을 하지 않은 소비자들이 집안의 가전제품을 업그레이드하거나 새롭게 구매하기도 한다"며 "전자랜드는 소비자들이 건강하고 풍요로운 여가생활을 즐길 수 있도록 돕겠다"고 말했다.

전자랜드 PC [전자랜드 제공
전자랜드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