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제약사 모더나가 한국에 2천만명 분량의 코로나19 백신을 공급한다는 데 합의했다고 청와대가 29일 밝혔다.
강민석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문재인 대통령은 스텐판 반셀 모더나 CEO(최고경영자)와 어젯밤 9시 53분부터 10시 20분까지 27분간 화상통화에서 반셀 CEO는 2000만명 분량의 4000만 도즈를 공급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당초 정부가 모더나와 협상을 통해 확보하겠다 한 건 1000만명 분량이었는데, 두 배에 해당하는 백신을 확보한 셈이다.

강 대변인은 “애초 내년 3분기로 추진했던 백신 공급 시기를 앞당겨 2분기부터 들여오기로 했고, 공급 시기를 더 앞당기기 위한 추가 노력을 하기로 했다”고 전했다.
정부와 모더나는 백신공급 계약을 연내에 체결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강 대변인은 아스트라제네카 등 기존 백신 공급계약에 더해 모더나와의 계약이 이뤄지면 총 5천600만명이 맞을 수 있는 백신을 연내에 확보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전날 보건당국은 아스트라제네카와 1천만명분, 얀센과 600만명분, 화이자와 1천만명분의 공급계약을 완료했고, 백신 공동구매와 배분을 위한 국제 프로젝트인 '코백스'를 통해서도 1천만명분을 공급받기로 하는 등 총 3천600만명분의 백신을 확보했다고 밝힌 바 있다.
강 대변인은 "노바백스, 화이자 등과의 추가 협상이 끝나면 백신 확보 물량은 더 늘어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문 대통령과 반셀 CEO는 통화에서 국립보건 감염병 연구소와 팬데믹 공동대응 및 백신물질 개발, 임상실험, 연구개발에 협력한다는 내용의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기로 합의했다.
나아가 모더나 백신을 한국 기업이 위탁생산하기 위한 협력도 강화하기로 했다.
반셀 CEO는 "새로운 바이러스가 출현하더라도 한국과 협력하면 (백신을 만드는 데 걸리는 기간이) 코로나 백신 개발 때보다 훨씬 단축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한국 정부가 바이오 신약 개발을 중시하고 있고 한국 기업이 강력한 생산 능력 갖추고 있음을 잘 안다"며 "위탁 생산을 하면 대규모 생산 능력을 구축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