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이란, 억류한 '한국케미'호 선원 석방…선장만 남아

이란 정부가 해상오염을 이유로 억류한 '한국케미'호 선원들을 2일 석방했다.

외교부는 최종건 1차관이 이날 오후 세이에드 압바스 아락치 이란 외교부 차관과 통화했다며 "아락치 차관은 이란 정부가 선장을 제외한 나머지 선원들에 대한 억류를 우선 해제하기로 결정했음을 알려왔다"고 전했다.

이란 외무부 대변인도 "페르시아만(걸프 해역)에서 환경오염을 일으킨 혐의로 억류된 한국 선원들이 한국 정부의 요청과 인도주의적 조처에 따라 출국 허가를 받았다"고 밝혔다.

이란 정부는 선박에 대해서는 해양 오염에 대한 사법절차가 진행되는 동안 계속 억류하겠다는 입장이다.

이란 혁명수비대 함정들에 나포되는 화학 운반선 '한국케미'     (테헤란 AP=연합뉴스) 한국 화학 운반선 '한국케미'가 지난 달 4일(현지시간) 걸프 해역에서 이란 혁명수비대 소속 함정들에 의해 나포되고 있는 모습. 이란 국영 TV는 혁명수비대가 호르무즈해협에서 환경 오염 유발을 이유로 '한국케미'를 나포했다고 보도했다. []
타스님 통신 제공

다만 현재 외교부는 선사 측과 누구를 남길지 협의 중으로 선사 입장에 따라 최종 잔류 인원이 달라질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이란 혁명수비대가 지난달 4일 호르무즈 해협의 오만 인근 해역에서 한국 국적 선박 '한국케미'를 나포하면서 한국인 5명을 포함해 미얀마,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 선원 총 20명이 이란 남부 반다르아바스항에 억류됐다.

외교부 관계자는 "선박 억류 사태 초반에는 동결자금 문제로 이란 측 분위기가 안 좋았지만, 최근에는 거의 매일 소통했고 우리의 조속한 동결자금 해결 노력도 믿기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양측은 외교 채널을 통해 대화를 이어갔으며, 한국 정부는 선박과 선원의 조기 억류 해제와 함께 이란 동결 자금 문제 해결을 위해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인 것으로 알려졌다.

입장차만 확인한 한국-이란     (서울=연합뉴스) 최종건 외교부 1차관(오른쪽 테이블 가운데)과 세예드 압바스 아락치 이란 외무차관(왼쪽 테이블 가운데)이 지난 달 10일(현지시간) 이란 테헤란에서 회담하고 있다. 이날 양국은 이란 혁명 수비대에 억류된 한국 선원과 이란의 한국 내 동결 자금에 관한 교섭을 벌였지만, 입장차만 확인하는 데 그쳤다. 2021.1.11 [. 재판매 및 DB 금지]
이란 정부 홈페이지 캡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