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마스크 일상이 되자 화장품 대신 향수로…판매 급증

코로나19로 마스크 착용이 일상이 된 가운데 화장품 매출은 감소했다. 대신 향수 매출은 급증했다.

8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지난달 롯데백화점의 화장품 매출은 1년 전과 비교해 각각 22% 줄었다. 현대백화점 역시 화장품 매출이 8.6% 감소했다.

코로나19로 마스크 착용이 일상화되면서 색조 화장품 수요가 줄어든 가운데 매장에서 견본품을 사용할 수 없게 되자 소비가 더욱 위축된 것으로 보인다.

이런 가운데 롯데백화점과 현대백화점의 향수 매출은 각각 34%, 49.7% 뛰었다.

향수는 화장품과 마찬가지로 견본품 사용이 금지돼 시향을 할 수 없는데도 구매하는 소비자가 많아진 것이다.

롯데백화점 관계자는 "화장을 하지 않는 대신 새로운 측면에서 자신을 표현할 수 있는 수단으로 향수를 찾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 강민지 기자 = 9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제19회 서울디자인페스티벌'에서 참관객이 향수 조향을 위한 오브제를 쌓아올리고 있다. 2020.12.9
서울=연합뉴스

오프라인 매장에서 시향이 중단되자 온라인몰의 향수 매출이 급증하기도 했다.

지난달 신세계인터내셔날의 자체 온라인몰 에스아이빌리지의 향수 매출은 작년 같은 달보다 772% 급증했다. 신세계인터내셔날은 딥티크, 산타마리아노벨라, 바이레도, 메모파리 등 니치(고급) 향수 브랜드를 운영하고 있다.

20~30대에게 인기를 끌고 있는 바이레도 매출은 783%, 메모파리는 1천600% 뛰었다.

이베이코리아가 운영하는 온라인몰 G마켓에서도 1월 향수 판매량이 1년 전보다 711% 많아졌다.

향수업계의 한 관계자는 "향수를 일상적인 액세서리로 보는 시각이 확산하면서 향수를 뿌리는 소비자가 많아지고 있다"면서 "향수는 대표적인 자기만족 제품으로, 최근 소비 경향인 가치소비와도 맞아떨어진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