갱신주기가 3, 5년인 실손의료보험 가입자 가운데 일부는 보험료 갱신 시 보험료가 50% 가까이 오를 것으로 예상된다. 갱신 시 3~5년 간의 인상률이 한꺼번에 반영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표준화 실손보험 가입자들의 보험료 부담이 우려된다. 이번 보험료 인상으로 다른 실손보험으로 갈아타려는 가입자들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달 보험업계는 표준화 실손보험(2세대)의 보험료를 평균 10∼12% 올렸다. 표준화 실손보험은 2009년 10월부터 2017년 3월까지 팔리고 단종된 상품이며, 그해 4월에 신(新)실손보험(3세대)으로 교체됐다.
표준화 실손 보험료는 작년과 2019년에 각각 9%대와 8%대가 올랐고, 2018년에는 동결됐다. 2017년에는 회사별 편차가 커서 많게는 20%가 넘게 인상됐다.
보험사가 5년간 10%씩 네차례 보험료를 인상했다고 가정하면 누적 인상률은 46%가 된다. 또 성별이나 연령대에 따른 인상률 차등을 적용하면 장·노년층 남성은 상대적으로 더 큰 인상률을 적용받는다.
2009년 9월까지 팔린 '1세대' 구(舊)실손보험 갱신을 앞둔 가입자의 보험료 부담은 더 커질것으로 보인다.
보험업계에 따르면 구실손보험은 2018년을 제외하고 2017·2019년에 10%씩 인상됐고, 작년에도 평균 9.9%가 올랐다. 올해 인상률은 15∼19%가 적용될 예정이다. 5년간 누적 인상률은 53∼58%에 해당한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구실손보험 갱신 가입자는 50% 이상 보험료가 오를 가능성이 크고, 일부 고령층은 인상폭이 100%에 이를 수도 있다"며 "구실손보험에 해당하는 우정사업본부(우체국) 실손보험 갱신 고객 중에 100% 인상률이 적용된 사례가 최근 나오고 있다"고 23일 전했다.
갱신 주기가 3년인 가입자는 3년치 인상률만 반영되는 만큼 5년 주기 갱신 가입자보다 상대적으로 인상폭이 적지만 역시 수십 퍼센트(%)의 인상을 각오해야 한다.
정부는 앞서 2013년, 이러한 갱신 폭탄을 막고자 매년 보험료를 갱신하게 상품 구조를 수정했다.
다른 보험업계 관계자는 "3∼5년 주기 갱신은 매년 갱신보다 체감 인상률이 훨씬 높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보험업계는 올해 보험료 갱신 부담으로 구실손보험 가입자를 중심으로 신실손보험 또는 7월에 출시되는 '4세대' 실손보험으로 갈아타려는 움직임이 나타날 수 있다고 조심스럽게 전망했다. 올해 신(新)실손보험의 보험료는 대체로 동결됐다.
구실손보험은 단종된 지 12년이 흘렀지만 여전히 870만명(건)이 계약을 유지하고 있다.
보험연구원 정성희 연구위원은 "올해 구실손보험 갱신 인상률은 가입자에게 상당한 부담으로 작용할 터라 유지 여부를 고민하는 가입자가 많을 것"이라면서도 "본인부담이 전혀 없는 강력한 혜택 때문에 실제로 갈아타기 움직임이 나타날지는 더 지켜볼 부분"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