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美연준서 '자산매입 축소' 가능성 시사. "물가 상승 압력"

미국의 통화 정책을 결정하는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향후 테이퍼링(자산매입 축소) 논의 시작 가능성이 처음으로 언급된 것으로 나타났다.

연준이 19일(현지시간) 공개한 지난달 27∼28일 FOMC 의사록에는 "몇몇 참석자는 경제가 위원회의 목표를 향해 계속 빠르게 진전될 경우 향후 회의들 중 언젠가 자산매입 속도를 조정하는 계획에 대한 논의를 시작하는 것이 적절할 수 있다고 의견을 밝혔다"고 적혔다.

FOMC 의사록에서 향후 자산매입 축소 가능성을 시사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CNBC방송이 전했다.

로이터통신도 연준이 지금까지 내놓은 통화정책 수정 가능성에 관한 언급 중 가장 명시적인 표현이라고 평가했다.

연준

지난해 코로나19 사태 후 연준은 경제적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금리를 제로 수준(0.00∼0.25%)으로 낮춰 1년 넘게 동결하는 한편, 월 1천200억달러 규모의 미 국채와 주택저당증권(MBS)을 매입 중이다.

최대 고용과 연평균 2%를 웃도는 물가상승률을 달성할 때까지 이러한 완화적 통화 정책을 유지하겠다는 것이 연준의 방침이지만, 최근 들어 물가가 급격하게 오르면서 테이퍼링을 비롯한 긴축 논의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지난달 FOMC 회의 이후 4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 동월보다 4.2% 급등했다는 노동부 발표를 포함해 물가 상승과 경제 회복 속도가 예상을 웃돌고 있음을 시사하는 경제 지표가 잇따라 공개되면서 이런 주장에 힘이 실리는 분위기이다.

이와 관련해 제롬 파월 의장을 비롯한 연준 주요 인사들이 공개 석상에서 물가 급등 우려는 "일시적"이라며 진화에 나서기도 했다.

그러나 이번 의사록에 따르면 일부 FOMC 위원들은 최근 물가를 밀어 올리고 있는 공급망 병목 현상과 원자재 부족 사태가 빠르게 회복되지 않을 가능성을 시사하면서 "올해 이후에도 물가에 상승 압력을 가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일부 산업에서는 이러한 공급망 교란이 "당초 예측했던 것보다 더 지속적인 현상으로 보인다"고 일부 위원들은 지적했다.

다만 의사록에서 드러난 물가 상승 염려에 대한 연준의 대체적인 시각은 낙관적이었다고 미 언론은 분석했다.

의사록은 경제 재개에 따른 수요 증가와 공급망 문제를 거론하면서 "회의 참석자들은 대체로 이러한 요인에 따른 일시적 효과가 사라진 뒤 물가 상승이 완화될 것으로 예상했다"고 밝혔다.

또 다수의 참석자는 "경제가 최대 고용과 물가 안정 목표를 향한 상당한 추가 진전을 이루기까지 얼마간의 시간이 걸릴 것 같다"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