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이 구독 기반 애플리케이션(앱)의 수수료를 내년 1월부터 15%로 낮추기로 했다고 로이터통신과 블룸버그통신 등이 2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에 따르면 구글은 자사 블로그를 통해 구글플레이 스토어 수수료율을 이같이 내린다고 밝혔다.
구글은 구독 서비스 사업자가 고객 이탈로 인해 둘째 해 이후 수수료 인하 혜택을 제대로 받지 못하는 현실을 감안해 인하 결정을 내렸다고 설명했다.
블룸버그통신은 이번 조치로 구독 서비스로 전환하는 앱 개발사들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종전에는 구독 기반 앱은 첫해 매출의 30%를, 그 이후는 15%를 수수료로 구글플레이 측에 내야 했다. 단, 연 매출 100만달러(약 11억8천만원)까지는 15%의 수수료율이 적용된다.
그러나 이번 조치로 첫해부터 구독 기반 앱 수수료율이 일률적으로 15%가 된다.
구글은 아울러 전자책과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의 수수료율을 10%로 낮췄다.
단, 인앱(In App) 결제 방식을 취하는 게임 앱들은 이번 조치에 큰 영향이 없을 것이라고 로이터통신은 전했다.
구글은 인앱 결제에 30%의 수수료율을 적용하고 있다.
구글의 수수료 인하 소식에 범블과 매치 등 데이트앱 주가가 11%가량, 음악 스트리밍업체인 스포티파이는 4% 각각 오르기도 했다.
구독 서비스는 주로 뉴스나 스트리밍과 같은 미디어 앱과 데이트앱 등에 적용된다.
![2020년 Apple과 Google 합치면 앱 비용 400억 달러 [자료=BNN 블룸버그] 2020년 Apple과 Google 합치면 앱 비용 400억 달러 [자료=BNN 블룸버그]](http://images.jkn.co.kr/data/images/full/960854/2020-apple-google-400-bnn.png?w=600)
한편 애플은 내년부터 잡지, 신문, 책, 오디오, 음악, 비디오 등의 '리더 앱'(reader app)에 대해선 개별 홈페이지 링크를 통해 인앱 결제가 아닌 개별 구독 결제를 유도하는 것을 허용하기로 했다.
애플은 리더 앱의 구체적인 내용을 밝히지 않았으나, 전자책이나 음악·동영상 스트리밍 등 구독 서비스가 포함될 것으로 알려졌다.
22일 (현지 시각) Joint TechCrunch플러스에 따르면 Google의 제품 관리 부사장인 사미르 사마트(Sameer Samat)는 발표에서 "디지털 구독은 개발자에게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모델 중 하나가 되었다. 그러나 구독 비즈니스는 고객 확보 및 유지와 관련한 문제에 직면해 있다"라고 설명했다.
그는 "데이트, 피트니스, 교육 및 기타 분야의 파트너와 협력하며 각 사업별 미묘한 차이를 이해했다며 정기 구독 12개월 구독 후 현재 수수료 30%에서 15%로 인하한다"라고 말했다.
이어 "고객 이탈로 구독 비즈니스가 할인된 수수료의 혜택을 받기 어렵다고 들었다"라고 덧붙였다.
그는 새로운 수수료 구조조정을 위해 다양한 산업과 분야의 개발자로부터 피드백을 받았다고 말했다.
구글은 앱의 수수료를 낮춰 기업의 비용 절감 부분이 아티스트, 음악가, 작가 및 기타 제작자까지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했다.
한편, 애플은 2년 동안 연간 수익이 100만 달러 미만인 앱, 뉴스 앱 및 특정 프리미엄 등을 포함해 수수료를 30%에서 15%로 줄였다.
21일(현지 시각) CNBC에 따르면 구글과 애플은 모두 앱 스토어 수수료와 관련해 법적 조치에 직면했다.
지난 7월 법무부장관은 구글이 안드로이드 플레이 스토어를 통해 앱 개발자의 권한을 남용했다고 주장하며 구글을 상대로 독점 금지 소송을 냈다.
포트나이트(Fortnite) 제조사 에픽 게임즈(Epic Games)는 애플과 구글을 상대로 대규모 소송을 제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