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인플레이션 억제를 위해 3번째 자이언트 스텝을 밟자 국내 산업계가 향후 닥쳐올 엄청난 여파에 온통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연준의 금리 인상이 미국 현지의 경기침체를 유발해 국내 기업의 수출상품 수요를 위축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더해 한국은행이 한미 금리 역전을 막기 위해 따라서 기준금리를 추가로 인상할 경우 중소기업 등 금융방어력이 취약한 국내 기업들은 또 다른 비용 부담을 떠안아야 한다.
이에 국내 산업계가 받는 충격을 줄이기 위해 국내 금리 인상 폭을 조절하는 등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3연속 자이언트 스텝에 산업계 휘청, 美 경기침체도 우려
22일 업계에 따르면 연준은 40년 만에 최고 수준으로 치솟은 물가를 잡기 위해 전날(현지시간) 기준금리를 0.75%포인트(p) 올렸다. 올해 들어 세 번째 자이언트 스텝으로, 미국 기준금리는 3.125%(3.0∼3.25%)로 인상됐다.
대폭 금리 인상으로 미국 현지에서는 경기침체 우려가 커지고 있다.
특히 세계 경제의 최대 엔진인 미국이 흔들릴 경우 대외의존도가 높은 한국 경제는 큰 타격을 받을 수밖에 없다. 이미 한국 수출은 무역적자가 25년 만에 6개월 연속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지는 등 급격히 둔화하는 양상이다.
이중 국내 주력산업인 반도체업계가 금리 인상에 따른 업황 악화를 가장 걱정하고 있다.
글로벌 메모리반도체 업황은 올해 들어 다운사이클에 진입해 최근 가격 하락 폭이 커지고 있다.
▲금리인상에 메모리 산업 업황 악화
세계 경기를 따라가는 메모리 산업 특성상 이번 연준의 금리 인상으로 업황 악화는 더 가속할 전망이다.
실제로 스마트폰, PC용 등 소비자용 반도체 수요는 급감했고, 상반기 견고했던 데이터센터용 서버 수요도 둔화하는 상황이다.
연준의 기준금리 인상은 수출 비중이 큰 국내 완성차업계에도 반갑지 않은 소식이다.
연준이 금리를 인상하면 자동차 할부 금리도 따라 오르면서 현지 소비가 위축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이러한 소비 위축은 미국에서 생산된 전기차에만 보조금을 지급하는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시행으로 영향을 받고 있는 한국 차 수요에 더욱 큰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김필수 대림대 자동차학과 교수는 "IRA라는 대외적 악재가 이미 존재하는 상황에서 연준의 금리 인상으로 국내 자동차 업계가 받는 영향이 커질 수 있다"며 "국내 자동차산업에 대한 투자도 우려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미국의 금리 인상으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현지에 대규모 시설 투자를 한 국내 반도체 기업들의 금융비용도 커질 것으로 보인다.
삼성전자는 미국 텍사스주 테일러시에 170억달러(22조원) 규모의 시설 투자를 진행 중이다.
또 미국 기준금리(3.0∼3.25%)가 한국(2.5%)보다 높아지면서 한국은행이 해외자금 유출 등을 우려해 국내 기준금리를 추가로 인상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이 최근 발표한 '미국과 한국의 적정 기준금리 추정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의 적정 기준금리를 3.12%로 추정하고, 한국이 양국 간의 적정금리 차이를 따를 경우 국내 기준금리는 3.65%까지 오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한은 금리 올리면 기업 이자비용 부담 커져
한국은행이 금리를 인상할 경우 대출 비중이 높은 국내 기업은 또다시 높은 이자 비용을 감수해야 한다.
특히 차입 비중이 큰 항공업계를 대표하는 대한항공의 경우 고정금리차입금은 5조6천억원, 변동금리차입금은 4조7천억원에 달한다. 평균 금리가 1% 오르면 470억원의 이자 비용이 추가로 발생하는 것이다.
2020년부터 3년째 이어지고 있는 코로나19 유행의 영향으로 부채가 급증한 중소기업은 더 큰 위기에 빠질 수 있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최근 국내 제조기업 307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고금리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기업은 61.2%(어려움 매우 많다 26.7%·어려움 많다 34.5%)에 달했다.
이에 국내 산업계가 받는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해 국내 금리 인상 속도 조절 등의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는 주문이 나오고 있다.
김현수 대한상의 경제정책실장은 "물가와 환율 안정을 위해 선제 통화정책이 불가피하지만, 그 결과가 기업의 부담이 되고 기업활동 위축으로 이어지는 딜레마 상황"이라며 "건실한 기업들이 유동성 위기에 빠지지 않도록 고비용 경제 상황 극복을 위한 지원방안도 병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추문갑 중소기업중앙회 경제정책본부장은 "정부는 시중 은행들이 중소기업에 대출금리를 과도하게 인상해 적용하는지 등의 상황을 점검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