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식량 자급률 50% 넘기자…밀·콩 민관협력 관건

세계적인 공급망 위기 및 자원의 무기화로 식량위기가 고조됨에 따라, 정부는 향후 5년 내 식량자급률을 50% 이상으로 높이기로 했다.

농림수산식품부는 국무총리 주재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를 통해 중장기 식량안보 강화방안을 22일 발표했다.

당국은 2021년 기준 44.4%인 식량자급률을 2027년까지 55.5%로 상향하고, 밀·콩 자급률도 8%, 43.5%까지 상향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가루쌀·밀·콩의 전문 생산단지를 확대해 대규모·집중 생산체계를 구축하기로 했다.

가루쌀의 경우에는 2027년까지 총 20만 t까지 생산을 늘려서 밀의 해외의존도를 낮추는 전략을 같이 병행해 나갈 계획이다.

재배 안정성과 품질 제고를 위한 지원도 강화한다.

기존 논활용직불을 2023년도부터 전략작물직불제로 확대·개편하고, 가루쌀·밀·콩 등 식량안보상 중요한 품목을 생산하는 농가에게 인센티브를 제공하기로 했다.

관건은 쌀의 자급률을 적정 수준으로 유지하면서 밀과 콩의 자급률을 높이는 것이다. 국내산 밀·콩이 시장 수요가 뒷받침되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에 대해 김정희 농림축산식품부 식량정책실장은 "수입 의존도가 높은 소비기반을 국산 밀과 가루쌀이 소비될 수 있는 구조로 바꾸기 위해 민관 협력이 필요한 부분이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김정희 농림축산식품부 식량정책실장
▲ 김정희 농림축산식품부 식량정책실장. [사진=농림축산식품부 e-브리핑]

농식품부는 국산 밀을 수요할 수 있는 여러 다양한 식품기업들과의 R&D, 그리고 지원, 그리고 시장을 만들기 위한 공동의 소비기반 확대를 위한 노력들을 같이 병행해 나갈 계획이다.

김정희 식량정책실장은 "다행히 최근 국산 밀의 품질이 굉장히 향상됐다는 업계의 평가들이 있다"며 "가루쌀도 밀을 대체할 만큼의 프리미엄 상품 가능성에 대한 좋은 호평이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밝혔다.

또 "콩 부분은 국산의 수요가 어느 정도 상당한 수준까지 올라와 있는 품목이라고 생각한다"며 "콩은 논콩 중심으로 규모화해 나가면서 가격 적정화 전략을 함께 세워나가고, 수요 기반을 확대하는 노력을 같이해 나간다면 자급률을 높일 수 있는 현실적인 성과를 거둘 수 있다"고 했다.

한편, 이 외에도 농식품부는 최근 5년간 연평균 1.2%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는 농지면적 감소 추세를 연평균 0.5%로 완화해, 2027년까지 농지면적을 150만 ㏊ 수준을 유지하기로 했다.

또 곡물 수출 엘리베이터 등 해외 곡물 유통망을 현재 2개소에서 2027년까지 5개소로 확대해 나간다. 국내 기업의 해외 유통망을 활용한 국내 반입물량은 2021년 전체 곡물 수입의 3.5% 수준에서 2027년에는 300만 t, 전체 곡물의 수입의 18% 수준까지 확대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