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성을 토대로 국내 발전소 관리 중점
-원전 수출 맞춤형 전략 발표
-후쿠시마 오염수 모니터링 강화할 방침
원자력안전위원회(이하 원안위)는 28일 내년 업무계획 사전 브리핑을 진행했다.
브리핑의 중점 사항은 고리 2호기 등 발전소의 안전성 확보와 원전 수출 관련 정책 지원에 관한 것이다.
원안위는 올해 4월 한수원이 고리 2호기 계속 운전을 신청함에 따라 안전성 확인을 비롯한 계속 운전 심사에 착수했다.
또 그간 감사원 등의 외부 지적을 반영, 안전성 확인에 충분한 시간을 확보하기 위해 계속 운전 신청기한을 앞당기는 시행령을 개정했다.
원안위 임승철 사무청장은 “고리 2·3·4호기 등 계속 운전 원전에 대해서는 10년의 추가 운전 기간 동안 안전하게 가동이 가능한지 최신 기술 기준을 활용하여 철저히 안전성을 확인하겠다”라고 말했다.

이어 “최근 건설이 재개된 신한울 3·4호기에 대해서도 5년간의 심사 중단 기간을 고려하여 최신 기술기준을 적용하되, 그간 APR 1400 노형 6기의 건설허가 경험을 활용하여 효과적으로 심사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원안위는 2023년부터 국가 프로젝트로 진행되는 소형 모듈 원전(SMR) 개발을 위해 안전 현안을 설계부터 사전 검토하는 시스템을 운영, 2026년까지 기술기준을 마련할 계획이다.
원안위는 외국 원전 수출에 힘쓰기 위해 각 나라의 상황에 맞는 맞춤형 계획을 내놓았다.
아랍에미리트와 같이 원전을 기수출한 국가에는 안전한 원전 운영을 지원하기 위해 규제 관련 사항에 대해 계속 협력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한편 체코, 폴란드 등 최근 수출 논의가 진행 중인 국가는 규제체계의 정립, 인허가 경험 전수 등을 국가별 맞춤형으로 지원하겠다는 방침을 발표했다.
이어 동남아시아, 중동 등 수출 가능성이 있는 국가는 규제 인프라 조성 등 인력양성 프로그램을 확대·개편하여 인프라 조성을 지원해 나갈 예정이다.
원안위는 2023년 한 해 동안 국민이 방사선 위험으로부터 안심하고 생활하도록 만들겠다는 목표도 내놓았다.

계획의 주요 골자는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에 대비하여 해양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주요 공항·항만에 방사선 감시기를 확대 설치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방사선 위험으로부터 국민을 안심시킬 수 있도록 원안위 차원에서 두터운 안전망을 확보하겠다는 방침이다.
원안위는 안전에 대한 국민 신뢰를 높이고자 원자력 관련 기관들이 먼저 안전 정보를 공개하고 국민이 정보에 편리하게 접근하도록 통합 플랫폼 구축 계획도 밝혔다.
임승철 사무총장은 끝으로 “2023년에 '과학을 바탕으로 국민이 신뢰하는 원자력 안전'을 실현하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