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올해 녹색산업 해외수주 20조원 목표

정부가 올해 녹색산업 수출 수주액 목표를 20조원으로 잡고 연초부터 '세일즈외교'에 나선다.

4일 환경부에 따르면, 올해 녹색산업 수출 수주액 목표는 20조원이다.

환경부가 수주를 기대하는 사업은 오만과 사우디아라비아 그린수소 생산시설 사업(15조4000억원), 필리핀 수력과 오만·호주 태양광 사업(8000억원), 방글라데시 산업단지 상하수도 사업(1조7000억원), 인도네시아·사우디·아랍에미리트(UAE) 해수담수화 플랜트 사업(1조8000억원), 우즈베키스탄 매립가스 발전소 사업(1000억원), 폴란드 소각로 증설 사업(3000억원) 등이다.

특히 오만 그린수소 생산시설 사업과 관련해서는 내달 양해각서가 체결될 예정이다. 수주 조건으로 생산된 수소 일부를 국내에 수입해 일정 수요를 보장하는 방안이 논의되는 것으로 전해졌다.

윤석열 대통령
▲ 윤석열 대통령이 3일 오후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2023년 국토교통부-환경부 업무보고에 입장하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환경부는 이달 장관을 단장으로 민·관 합동 '녹색산업 수출 얼라이언스'를 발족해 수주전략을 마련하는 한편 장·차관이 1~3월 오만·우즈베키스탄·인도네시아를 방문해 세일즈외교를 펼치기로 했다.

환경부는 "사우디 네옴시티 등 대규모 사업을 대상으로 녹색산업 수주 확대를 추진하겠다"라고 설명했다.

녹색산업 수출 확대는 올해를 녹색산업이 신성장동력이 되는 원년으로 만든다는 계획의 일환이다.

한편, 국내에서는 반도체 생산에 필수적인 초순수 생산기술 확보를 지속해서 추진한다.

초순수 생산기술 국산화 첫걸음으로 꼽히는 실증플랜트(하루 1200t 생산)를 구축해 올해 시범공급 사업을 벌인다. 상용화는 2025년이 목표다.

세계 자동차 시장이 전기차와 수소차 등 무공해차 위주로 재편되는 데 맞춰 국내시장 확대와 기술개발을 유도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무공해차 보급 목표(누적)는 올해 70만대, 2027년 200만대, 2030년 450만대다.

전기차 보조금과 관련해 환경부는 올해 제조사 사후관리체계 유무를 반영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직영서비스센터 등이 있는지에 따라 보조금을 차등하는 방안이 추진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국내 제조사에 유리하고 외국 제조사에 불리하다.

전기차가 늘어나면서 함께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폐배터리와 관련해서는 니켈과 코발트 등 희소금속 고효율 회수기술 개발을 지속해서 진행한다.

미국 환경 컨설팅·연구기관 EBI는 세계 녹색산업 시장규모를 1조3421억달러(약 1조704억원)로 추산하지만, 국내시장 규모는 264억달러(약 33조원)로 세계시장의 2%에도 못 미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