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2030세대의 전국 아파트 매입 비중이 평균 30% 밑으로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집값 하락세가 이어지고 대출 금리가 오르면서 2030세대의 '패닉바잉'과 '영끌' 매입이 줄어든 것으로 해석된다.
11일 한국부동산원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1월부터 11월까지 전국 아파트 거래량 28만359건 중 20대와 30대가 매입한 경우는 7만9485건으로 28.4%에 달했다. 이는 2021년 평균 31%에 비해 2.6%포인트 감소했다.
전국 아파트 2030 매입 비중은 매입자 연령대별 거래량이 공개된 2019년 28.3%에서 집값이 본격적으로 오르기 시작한 2020년에 29.2%, 2021년에는 30%를 돌파했다.
이처럼 2030세대 주택 매입 비중이 늘어난 데는 2020년 8월 임대차 2법 시행 등 이후로 전셋값이 폭등하고 집값이 오르면서 불안감이 커진 무주택 2030세대들이 대출을 최대한 받아 내집마련에 나섰기 때문이다.
지난해 금리가 급등하면서 대출 이자 부담이 커졌고 집값도 떨어지면서 2030세대의 주택 매수 비중도 감소한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서울 아파트 2030세대 매입 비중은 2021년 41.7%에서 지난해(1∼11월)는 평균 34.1%로 급감했다.
서울 아파트 2030 매입 비중은 대선이 있던 지난해 3월과 4월 규제완화 등의 기대감으로 각각 40.7%, 42.3%를 기록하며 40%를 웃돌았으나 이후 금리 인상이 가속하며 6월에는 24.8%까지 내려왔다.
이후 지난해 8월부터 정부가 생애최초주택구입자금 대출의 LTV(주택담보대출비율) 상한을 80%까지 상향하고 대출 한도도 4억원에서 6억원으로 확대하는 등 젊은층의 주택 매수 요인이 늘자 9월에는 34.7%로 높아졌다.
그러다 금리 부담에 10월(26%)과 11월(29.8%)에 다시 30% 아래로 떨어졌다.
다만 중저가 아파트가 밀집한 노원구 아파트의 2030 매입 비중은 2021년 평균 49.3%에서 지난해는 50.1%로 과반을 기록하며 소폭 상승했다.
수도권에서 지난해 집값이 급락한 인천지역 아파트 2030 매입 비중이 33.4%로 전년(33.2%)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고 경기도는 2021년 36.3%에서 지난해 34.4%로 소폭 감소했다.
아파트뿐만 아니라 주택 전체의 2030 매입 비중도 줄었다. 2021년 '빌라' 매입 열풍이 집값 하락으로 수그러든 영향으로 보인다.
지난해 전국 주택 거래건수는 11월까지 총 48만187건으로, 이 중 24.1%(8만7천107건)를 2030세대가 매입했다.
20201년 27% 선에서 3%포인트가량 줄어든 것이다.
특히 서울 주택 거래에서 2030세대가 차지하는 비중은 2021년 31.8%에서 지난해 27.9%를 기록해 30% 밑으로 떨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