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하이닉스가 스마트폰 등 모바일 기기용 고성능 D램 사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지난 10일 최신형 D램 모델인 ‘LPDD5T’의 출시를 위한 성능 검사를 완료했다고 밝힌 SK하이닉스는 11일 한 단계 아래의 신형 D램인 ‘LPDD5X 24GB 패키지’의 양산을 시작했다고 발표했다.
통상 D램은 규격명에 LP(Low Power)가 붙으며, 5X는 1-2-3-4-4X-5-5X로 이어지는 7세대 제품임을 나타내는 표시다.
‘LPDDR5T’는 ‘LPDDR5X’를 업그레이드한 모델로, 세대를 구별할 정도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지만 8세대 모델인 ‘LPDDR6’로 이어지는 교두보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해당 제품은 대만 반도체 기업 미디어텍의 차세대 모바일 AP에 적용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모바일 AP’는 PC의 메인보드 칩셋과 마찬가지로 기기 내 OS, CPU, 그래픽카드, 메모리 등의 여러 기능을 하나의 칩에 구현한 최신 기술이다.
한편 사측은 이미 지난해 11월 LPDDR5X 양산에 성공했으며, 이번에 모바일 D램으로는 처음으로 24GB까지 용량을 업그레이드한 패키지를 납품한다.

SK하이닉스 관계자는 “LPDDR5X 24GB 패키지에 HKMG 공정을 도입해 업계 최고 수준의 전력 효율과 성능을 동시 구현해낼 수 있었다”라고 전했다.
또 “이번에 현존 유일의 24GB 고용량 패키지를 당사 모바일용 D램 포트폴리오에 추가해 앞으로 고객 요구에 훨씬 폭넓게 대응할 수 있을 것”이라는 포부를 밝혔다.
HKMG란 유전율(K)이 높은 물질을 D램 트랜지스터 내부의 절연막에 사용해 전류 누설을 막고 정전용량(Capacitance)을 개선한 차세대 공정이다.
이를 통해 D램의 속도는 높이면서도 소모 전력은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는 것이 SK하이닉스의 설명이며, 사측은 지난해 11월 모바일 D램에 세계 최초로 해당 공정을 도입한 바 있다.
이번에 공급되는 ‘LPDDR5X 24GB 패키지’의 데이터 처리 속도는 초당 68GB로, 이는 Full-HD급 영화 13편을 1초에 처리하는 수준이다.
SK하이닉스는 지난달부터 스마트폰 제조사인 오포(OPPO)에 LPDDR5X를 납품했으며, 오포는 이를 신형 스마트폰인 ‘원플러스 에이스 2 프로(Oneplus Ace 2 Pro)’에 탑재해 지난 10일 출시했다.
최근 스마트폰의 성능은 빠르게 향상되고 있으며, 이제는 커뮤니케이션 기기를 넘어 빅데이터 속에서 사물인터넷 등 최신 기술의 플랫폼 역할을 하는 엣지 디바이스(Edge Device)로 자리매김했다.
IT 전문가들 역시 향후 AI 시대가 도래하면서 스마트폰이 생활 속에서 가장 중요한 디바이스가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스마트폰에서 가장 중요한 메모리 반도체의 성능 향상이 요구되면서 메모리 시장 역시 폭발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업계는 내다보고 있다.
SK하이닉스 박명수 부사장은 “IT 산업 전 영역에서 기술 발전 속도가 빨라지면서 모바일 기기 외에도 PC, 서버, 고성능 컴퓨팅(HPC), 오토모티브(Automotive) 등으로 당사 LPDDR 제품의 사용처가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앞으로 반도체 산업에서 D램 이외에도 낸드 플래시(NAND Flash), CIS 등 여러 부문의 기술 혁신을 이루어낼 것”이라는 포부를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