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이후 지속되고 있는 국내외 식료품물가 상승세가 당분간 계속 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특히 이상기후 등으로 국제식량가격이 상승할 경우 국내 가공식품 및 외식 물가에 영향을 미쳐 저소득층을 중심으로 부담이 증대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한국은행은 28일 경제전망보고서에 실린 '국내외 식료품물가(food inflation) 흐름 평가 및 리스크 요인'에서 이같은 분석을 내놨다.
보고서는 최근 국내에서 집중호우와 폭염, 태풍 등 기상여건 악화로 채소·과일 등 농산물 가격이 전월 대비 빠르게 상승하고 있는 데다, 흑해곡물협정 중단, 일부 국가의 식량수출 제한 등이 겹치면서 식료품 물가 우려가 커지고 있다고 전했다.
영국의 지난 3월 식료품 물가가 19.2% 상승, 45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하는 등 주요국에서도 지난해 이후 식료품물가 상승률이 전체 물가 상승률을 크게 웃돌면서 식료품발 물가 불안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국내외 식료품물가의 높은 상승세는 각국의 작황 등 수급상황이나 인건비 등 국별 여건과 함께 팬데믹에 따른 공급병목,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곡물·비료공급 차질, 각국 식량수출 제한, 이상기후 등 글로벌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했다.
한은이 50개국 데이터를 이용해 식료품물가 상승요인을 글로벌 공통요인과 국별 고유요인으로 분해해 본 결과 글로벌 요인의 영향이 더 크게 나타났고, 우리나라도 원재료 수입의존도가 높은 식료품 가격 상승률이 여타 품목에 비해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보고서는 향후 국내외 식료품물가 오름세 둔화 속도가 더디게 나타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전망하면서, 중장기적으로는 엘니뇨, 이상기후 등이 국제식량가격의 가장 큰 상방리스크로 잠재해 있다고 평가했다.
보고서는 "올해 중 강한 강도의 엘니뇨 발생이 예상되는데, 과거 사례를 보면 엘니뇨 기간 이후에는 국제식량가격 상승기가 나타나는 경향을 보여왔다"면서 "해수면 온도가 예년 대비 1도 상승할 때 평균적으로 1∼2년의 시차를 두고 국제식량가격이 5∼7% 상승했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국제식량가격은 시차를 두고 국내 가공식품 가격 및 외식물가에 파급된다"면서 "가공식품은 11개월 후에, 외식물가는 8개월 후에 영향이 최대로 나타나며, 국제식량가격 급등기에는 시차가 단축되는 경향이 있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식료품과 외식물가는 하방경직성과 지속성이 높고 체감물가와의 연관성도 높아 기대인플레이션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면서 "향후 국내 물가 둔화 흐름을 더디게 만드는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도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가계지출 중 식료품 비중이 높은 저소득층을 중심으로 가계부담이 증대하고 실질구매력이 축소될 수 있는 만큼 후 식료품물가의 흐름과 영향을 면밀히 점검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