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024년 1월 개최 예정인 세계 최대의 IT·가전 전시회 ‘CES 2024’가 코앞으로 다가오면서 각 기업도 전시회에서 선보일 최신 기술들을 잇달아 등장한다.
최첨단 기술과 집이라는 생활공간을 접목한 미래의 삶을 엿볼 수 있는 자리인 만큼, 기술에 대한 기대와 비판 등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현재 공개 예정 첨단 기술의 예상 효과와 더불어 향후 기업들의 발전 목표를 조사해 보았다.
▲ CES 2024, IT 산업의 선두 기술이 한곳에
글로벌 최대의 IT 전시회이니만큼 국내 IT 관련 대기업은 물론 관련 핵심 기술을 보유한 중소기업 모두 CES 2024에 참여할 전망이다.
우리나라 대형 IT 기업인 통신 3사에서는 SKT가 AI 중심의 기술을 여럿 선보일 예정이며, KT·LGU+는 참관을 통해 관련 사업 기회 발굴에 나설 계획이다.
먼저 SKT는 테마파크 컨셉트의 '원더랜드' 전시관에서 도심항공교통(UAM), AI 반도체 사피온, AI 기반 실내외 유동 인구 및 네트워크 분석 시스템 '리트머스 플러스', 신재생 에너지 가상 발전소 등을 선보인다.
SKT는 오는 2025년 상용화가 목표인 UAM '매직카펫'을 타는 가상화면을 통해 미래 교통체계를 체험하는 부스도 준비했다.
LG유플러스는 AI·모빌리티 전문가로 구성된 임직원 참관단을 파견할 예정으로, 참관을 통해 라이프스타일·놀이·성장케어 3대 신사업과 4대 플랫폼 등 'U+3.0' 사업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KT 역시 신수정 전략신사업부문 부사장 등 주요 임원진이 참석해 다양한 사업 기회를 적극적으로 모색할 예정이다.
이외에도 삼성전자의 경우 냉장고·인덕션 등에 패널을 설치해 음식물 기한을 관리하고 관련 조리법을 공유하는 등 ‘푸드 생태계’에 집중한 모습을 보였다.
▲ CES 2024, 핵심은 온디바이스 AI
현재까지 등장한 CES 2024 출품작을 살펴볼 때, 이번 행사의 주축은 온디바이스AI가 될 분위기이다.
IT와 가전제품의 융합 과정에서 생활의 질을 높이기 위한 선택으로 기업은 AI를 택했고, 실제 인간의 언어를 처리할 수 있는 LLM 등의 장치가 개발되면서 기술 발전은 속력을 얻었다.
온디바이스AI란 말 그대로 전자제품과 같은 디바이스에 탑재된 AI란 의미이며, 기존 AI와 달리 연산을 위한 서버가 따로 필요하지 않은 AI이다.
이러한 AI는 최대 연산 능력은 떨어지지만, 연산이 기기 내에서 이루어지기에 즉각적이고 신속한 반응이 가능하다.
이는 대부분 일상생활 도우미와 같이 제한된 용도를 위해 쓰이는 온디바이스AI 특성상 대규모 연산능력이 필수적이지 않다는 점과 시너지를 일으킨다.
온디바이스AI가 상용화되면 현재 IT 기업에서 제시하는 ‘스마트 홈’과 같은 생활이 실제로 가능해진다.
형광등 스위치나 에어컨 온도 설정 등 사람이 직접 조절하던 일상의 사소한 움직임들이 AI에 의해 자동으로 관리되기 때문이다.
한국전자기술연구원 관계자는 “온디바이스 AI도 완벽하지는 않기에 꾸준한 학습을 통해 성능이 발전하며, AI에게 중요한 일을 맡길수록 문제 발생 시 리스크도 높아지기에 기술적인 보완이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 CES 2024가 제시하는 IT의 미래는?
CES는 기본적으로 IT와 가전제품을 주제로 진행되는 전시회이기에 공개되는 대부분의 첨단 제품들도 자연스럽게 우리의 생활에 밀접한 형태로 나타난다.
특히 지난 CES 2023의 주제였던 ‘스마트 홈’과 더불어 CES 2024에서는 'AI'와 함께 '지속 가능한 발전'의 존재감이 가장 크게 나타나는 분위기이다.
‘스마트 홈’은 집 안의 자동화 전자기기를 통해 집 바깥에 있을 때의 원격 조종이나 에너지의 자율 관리 등이 특징인데, 이러한 첨단 기기 관리에 AI가 본격적으로 도입되면서 자원 사용 효율화와 친환경 보조가 더 조명을 받고 있다.
먼저 삼성전자의 ‘스마트싱스 스테이션’이나 ‘삼성 푸드’등에서도 최종 선택은 사람이 하더라도 선택까지의 과정 전반에 대한 보조를 AI가 맡으면서, 실수나 망각으로 인한 낭비 자원을 최소화하려는 움직임이 드러났다.
이는 최근 전세계적 이상기후와 발생 빈도와 더불어 온실가스 배출에 대한 경각심이 증가하면서, IT업계에서도 친환경적이며 쓰레기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향으로 개발이 진행되고 있음을 드러낸다.
지난 CES 2023에서 화제를 모았던 폐열 재활용 냉·난방장치 ‘히트펌프’ 시스템이나 오는 CES 2024 공개 예정인 친환경 생분해 플라스틱 ‘라이맥스’ 소재 등이 친환경 연구 개발의 산물이다.
또 LG전자의 스마트 홈 플랫폼 '씽큐'에서도 AI를 활용한 '자동 절전 시스템'과 더불어 '미세 플라스틱 저감 세탁기' 등 에너지 절약 및 친환경적인 첨단 기술이 다수 공개되었다.
특히 미국이 최근 IRA(인플레이션 감축법) 등을 통해 친환경 기술에 전폭적인 지원을 추진하는 만큼, 향후 첨단 기기 개발에서도 친환경 기술에 대한 투자도 지속적으로 상승할 분위기이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AI 기술을 기반으로 소비자의 사용 경험과 지속 가능성을 높이는 방식의 발전 방향이 중요하다”라고 말했다.
이어 “스마트싱스 에코시스템을 필두로 더 많은 첨단 제품에 친환경·지속가능성 관련 기술을 도입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