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우리나라의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2.3%에서 2.2%로 0.1%p 하향 조정했다.
인플레이션 전망치는 종전의 2.7%를 유지했다.
5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OECD는 이날 '중간 경제전망'(Interim Economic Outlook)에서 올해 한국경제가 2.2%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작년 11월 경제전망보다 0.1%p 낮아진 수치다.
올해 세계 성장률 전망치를 2.7%에서 2.9%로 상향 조정했으며 내년은 3.0%로 전망한 가운데 우리나라 성장률을 소폭 내린 것이다. 우리의 양대 교역국인 중국의 성장률로는 기존 4.7%를 유지하고, 미국 성장률은 1.5%에서 2.1%로 0.6%p 상향했다.
![OECD oecd 경제협력개발기구 선진국 OECD oecd 경제협력개발기구 선진국](https://images.jkn.co.kr/data/images/full/957113/oecd-oecd.jpg?w=600)
우리나라의 지난해 성장률로는 최근 한국은행의 속보치 집계(1.4%)보다 낮은 1.3%를 제시했다.
통상적인 스케줄(3월)보다 앞당겨 중간전망을 내놓다보니 일부 업데이트된 수치가 반영되지 않은 것으로도 보인다.
우리나라의 내년도 성장률 전망치는 기존 2.1%를 유지했다.
우리나라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3.6%에서 올해 2.7%, 내년 2.0%로 단계적으로 둔화할 것으로 OECD는 예상했다.
올해와 내년 모두 종전의 인플레이션 전망치를 유지한 것이다.
OECD는 이번 중간 전망에서 한국 경제에 대한 별도의 평가를 하지는 않았다.
!['경제협력개발기구 중간 경제전망' (성장률, G20 국가) '경제협력개발기구 중간 경제전망' (성장률, G20 국가)](https://images.jkn.co.kr/data/images/full/971290/g20.jpg?w=600)
OECD는 세계 물가상승률에 대해 올해 6.6%, 내년은 3.8%로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다.
OECD는 근원 물가상승률도 인건비 압력 완화 등에 따라 완만히 둔화될 것으로 예측했다.
OECD는 세계 경제 주요 리스크 요인으로 중동 등 지정학적 위험과 이에 따른 인플레이션 상승 가능성, 고금리 여파로 인한 부채부담 등을 제시했다.
또한, 인플레이션 압력 등을 감안한 신중한 통화정책, 조세·지출 개혁을 통한 재정건전성 확보 등 정책제언과 함께 교육 개혁을 통한 생산정 제고, 글로벌 공급망 및 자유무역 복원 등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구조적 노력의 필요성을 권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