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OECD, 韓 성장률 전망 2.3→2.2% 하향…물가전망 2.7% 유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우리나라의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2.3%에서 2.2%로 0.1%p 하향 조정했다.

인플레이션 전망치는 종전의 2.7%를 유지했다.

5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OECD는 이날 '중간 경제전망'(Interim Economic Outlook)에서 올해 한국경제가 2.2%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작년 11월 경제전망보다 0.1%p 낮아진 수치다.

올해 세계 성장률 전망치를 2.7%에서 2.9%로 상향 조정했으며 내년은 3.0%로 전망한 가운데 우리나라 성장률을 소폭 내린 것이다. 우리의 양대 교역국인 중국의 성장률로는 기존 4.7%를 유지하고, 미국 성장률은 1.5%에서 2.1%로 0.6%p 상향했다.

OECD oecd 경제협력개발기구 선진국

우리나라의 지난해 성장률로는 최근 한국은행의 속보치 집계(1.4%)보다 낮은 1.3%를 제시했다.

통상적인 스케줄(3월)보다 앞당겨 중간전망을 내놓다보니 일부 업데이트된 수치가 반영되지 않은 것으로도 보인다.

우리나라의 내년도 성장률 전망치는 기존 2.1%를 유지했다.

우리나라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3.6%에서 올해 2.7%, 내년 2.0%로 단계적으로 둔화할 것으로 OECD는 예상했다.

올해와 내년 모두 종전의 인플레이션 전망치를 유지한 것이다.

OECD는 이번 중간 전망에서 한국 경제에 대한 별도의 평가를 하지는 않았다.

'경제협력개발기구 중간 경제전망' (성장률, G20 국가)
'경제협력개발기구 중간 경제전망' (성장률, G20 국가) [기획재정부 제공]

OECD는 세계 물가상승률에 대해 올해 6.6%, 내년은 3.8%로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다.

OECD는 근원 물가상승률도 인건비 압력 완화 등에 따라 완만히 둔화될 것으로 예측했다.

OECD는 세계 경제 주요 리스크 요인으로 중동 등 지정학적 위험과 이에 따른 인플레이션 상승 가능성, 고금리 여파로 인한 부채부담 등을 제시했다.

또한, 인플레이션 압력 등을 감안한 신중한 통화정책, 조세·지출 개혁을 통한 재정건전성 확보 등 정책제언과 함께 교육 개혁을 통한 생산정 제고, 글로벌 공급망 및 자유무역 복원 등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구조적 노력의 필요성을 권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