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작년 실업급여 수급자 재취업률 30.3%, 7년 만에 최고

실업급여를 받는 동안 재취업에 성공한 사람의 비율이 2016년 이후 처음으로 30%대로 올라섰다.

7일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지난해 실업급여 수급을 마친 사람들 가운데 수습 기간 재취업한 사람의 비율인 재취업률이 30.3%를 기록했다.

30%대 재취업률은 2016년(33.1%) 이후 7년 만이다.

재취업률은 2008년에 최고 수준인 38.8%를 기록한 후 30%대를 유지했다.

2017년부터 채취업률이 20%대로 떨어졌고, 2020년에는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해 실업인정을 간소화하면서 재취업률은 20%대에 머물렀다.

특히 2019년 재취업률은 25.8%로 역대 최저를 기록했다.

채용
[연합뉴스 제공]

재취업률 상승엔 무엇보다 실업급여 수급자들의 적극적인 재취업 활동이 영향을 미쳤다고 노동부는 설명했다.

작년 수급자들의 재취업 활동 가운데 입사 지원, 면접 등 직접적이고 적극적인 활동의 비율이 59.1%를 차지했으며, 전년(2022년) 42.7%보다 크게 늘었다.

이성희 고용노동부 차관은 “실업급여 수급자의 재취업률이 7년 만에 처음으로 30%대에 진입할 수 있었던 것은 수급자분들이 적극적으로 구직활동에 매진하고 정부가 이를 일관되게 뒷받침해 온 결과”라고 하면서 “올해에는 고용서비스와 연계한 수급자의 재취업지원 강화에 더욱 힘쓰겠다”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이 장관은 “현 성과에 안주하지 않고, 실업급여 제도를 근본적으로 개편하여 수급자의 노동시장 참여를 촉진하고 제도의 지속가능성을 높여 나가겠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