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KTX 20주년…기록으로 보는 역사

KTX가 1일 개통 20주년을 맞았다.

20년 전 대한민국에 속도혁명을 일으키며 등장한 KTX(Korea Train eXpress)는 교통뿐 아니라 경제와 사회 전반의 패러다임 전환을 주도하며 국민의 일상과 문화를 바꿨다.

우리나라 간선철도망의 최고속도를 기존의 시속 150km에서 300km로, 두 배 도약시키며 시간과 공간의 경계를 허물었다. 전국이 반나절 생활권으로 묶이고 이동과 만남은 한층 편해졌다.

여행지 선택폭이 넓어지고 빈도가 잦아지면서 지역 간 교류와 경제성장이 가속화됐다. 올림픽, 아세안 정상회의 등 국가 주요 행사의 듬직한 파트너이자 지역 균형발전의 일등공신 역할도 수행했다.

KTX
▲ KTX 20주년 자료사진. [연합뉴스 제공]

코레일은 2004년 경부선(서울~부산), 호남선(용산~목포)을 시작으로 2011년 전라선(용산~여수엑스포), 2017년 강릉선(서울~강릉), 2021년 중앙선(청량리~안동), 중부내륙선(부발~충주) 등을 차례로 개통하면서 KTX 운행을 확대해 왔다. 지난해 말에는 중앙선을 서울역까지, 중부내륙선은 판교역까지 연장 운행하는 등 고속철도 수혜지역을 지속적으로 넓혀나가고 있다.

2004년 개통 첫해 경부, 호남 2개 노선 20개역에만 다니던 KTX는 2024년 현재 전국 8개 노선의 69개역에서 이용할 수 있다. 하루 평균 운행횟수는 토요일 기준 369회로, 개통 초기 142회에 비해 세 배 가까이 늘었다.

KTX 운행지역 확대와 함께 국내 중장거리 이동은 고속철도 중심의 교통체계로 전환됐다. 2019년 기준으로 서울과 부산을 오가는 사람의 70%, 광주를 오가는 사람의 절반이 고속철도를 선택했다. 고속철도 역까지 1시간 이내에 접근가능한 지역도 개통 당시 37.5%에서 ‘21년 기준 75.1%로 크게 확대됐다.

KTX 개통 후 지역 간 여객수송에서 철도분담률이 대폭 증가하고, 중장거리 이동 시 국민의 교통수단 선택권이 확대됐다.

항공이 독점해온 서울-대구, 서울-부산 등 장거리 고급 교통수단의 역할은 철도로 완전히 대체됐다. 짧은 소요시간, 높은 도심 접근성, 상대적으로 저렴한 비용이 결정적 역할을 했다.

수도권-대구 구간의 철도 수송분담률은 2003년 12%에 불과했지만, 2012년은 60%로 5배나 성장했고, 수도권-부산 구간 역시 38%에서 69%로 2배 가까이 늘어났다.

반대로 항공 분담률은 급격하게 하락했다. 수도권-대구 구간의 항공 수송분담률은 2003년 11%였지만, 2012년엔 1%로, 수도권-부산 구간 역시 32%에서 15%로 급락했다.

항공 수요 대부분을 KTX가 흡수한 셈이다. 실제로 대한항공은 KTX 호남선 개통으로 수익성이 악화된 김포-광주 노선의 운항을 2016년 중단했고, 2020년엔 김포-여수 노선을 폐지했다.

KTX는 지역 간 통행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였다. 서울에서 아침을 먹고 KTX를 타면 부산(2시간 23분), 목포(2시간 27분), 강릉(1시간 49분), 안동(2시간 28분) 등 국내 어디든 점심식사 전에 도착할 수 있다. 거리와 시간적 부담의 해방은 대한민국 사회의 문화적 다양성을 증진시키고 지역 균형발전을 뒷받침했다.

KTX가 시속 300km의 최고속도에 도달하는 시간은 단 6분 5초로, 경부·호남·강릉선 등 6개 주요 구간을 기존 철도 대비 평균 50.7% (152분) 단축시키고 국민에게 더 많은 여가와 시간 가치를 제공했다. 이를 환산하면 1년에 약 2.6조원에 이른다.

지난 20년간 누적 KTX 이용객은 10억 5천만 명을 넘어섰다. 지난해 하루 평균 이용객은 23만 명으로 개통 초기 7만 명보다 3배 이상 늘었다. 연간 이용객은 개통 첫 해 2천만 명에서 지난해 기준 8400만 명을 돌파했고, 올해는 8900만 명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하루 이용객이 가장 많은 역은 서울역(9만 7천명)으로, 2004년 대비 약 2.2배 늘었다. 서울역은 경부선, 호남선, 중앙선 등 모두 7개 노선(경부·동해·경전·호남·전라·강릉·중앙선) 열차가 출발‧도착하는 역이다.

2004년 이후 이용객 수가 가장 많이 늘어난 역은 광명역으로, 약 5.5배 증가한 3만2000명이 타고 내린다. 한편, 2010년 운영에 들어간 오송역은 하루평균 2418명에서 지난해 2만3000명으로 약 9.5배나 증가했다.

KTX를 가장 많이 이용하는 구간은 서울↔부산으로 하루 평균 1만8000명이 타고 내린다. 개통 초 7천명 남짓 탔던 서울↔대전 간은지난해 하루 평균 1만3000명 넘게 이용하며 두 배 가까이 늘었다.

KTX 이용객은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누적 이용객 N억명 달성에 걸리는 기간도 점점 줄어들고 있다.

KTX는 개통 2주만에 이용객 100만 명을 돌파하고 142일만에 1000만 명을 넘어섰다. 3년 21일만인 2007년 4월 21일에는 누적 이용객 1억 명을 달성했다. 이는 일본 신칸센의 3년 3개월 17일, 프랑스 TGV의 5년보다 앞선 기록이다. 개통 후 누적이용객 5억명까지 걸린 시간은 11년 5개월이지만, 10억 명까지 걸린 시간은 7년 11개월로 3년 5개월이나 앞당겨 달성했다.

전체 철도 이용객 중에서 고속열차 이용객수도 해마다 비율이 늘고 있다. 2004년에는 18%만 KTX를 이용했는데, 2014년은 42%, 2023년은 61%가 KTX를 선택했다. 점유율이 3배 이상 증가했다.

그동안 KTX가 달려온 누적 운행거리는 6억4581만km에 달한다. 지구 둘레를 4만km로 환산할 경우 지구를 1만 6150바퀴 도는 것과 같다.

KTX를 이용한 승객의 누적 이동거리는 2634억km이다. 이는 지구와 태양 사이의 거리인 1억 5000만km의 1760배에 해당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