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노펙이 지난해 12월 개장한 샤오우지 배터리 충전소는 중국의 탈휘발유 미래를 엿볼 수 있는 곳이라고 2일(현지 시각) 로이터 통신은 전했다.
중국의 휘발유 수요는 내년에 정점에 달하고 2045년에는 절반으로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면서 중국의 최대 정유업체이자 마케팅 업체인 시노펙과 페트로차이나는 전략적 전환이 필수가 됐다고 로이터 통신은 분석했다.
이 두 국영 석유 회사는 중국 내 10만 개가 넘는 주유소 중 약 50%를 함께 운영하고 있으며, 연료 판매가 전체 매출의 거의 절반을 차지한다.
세계 최대 자동차 시장인 중국에서 전기차 판매량은 올해 판매되는 2,300만 대의 자동차 중 40%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컬럼비아대학교 글로벌 에너지 정책 센터의 연구원 에리카 다운스는 "국영 석유 회사들은 벽에 주유소를 저탄소 경제에 적응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쉘, 토탈에너지스와 같은 다른 글로벌 에너지 기업들도 노르웨이와 같은 초기 전기차 도입 시장에서 지금까지 얻은 교훈을 활용하여 중국에 훨씬 더 큰 규모로 적용하려고 한다.
그러나 중국의 공공 전기차 충전 부문은 시장 세분화, 과잉 공급, 낮은 활용도 및 손실로 인해 비즈니스 모델을 적용하려는 석유 회사들에게 어려움을 겪고 있다.
최근 평일 오후, 샤오우지 역의 70개 충전소 중 54개 충전소가 유휴 상태였다. 대부분의 고객은 택시 기사들이었는데, 그 중 한 명은 집에서 충전하는 것보다 약간 비싸지만 충전 속도가 더 빠르다고 말했다.
지난해 말 기준 21,000개의 충전소를 운영 중인 시노펙은 올해 통합 에너지 스테이션 네트워크 구축을 위해 유통 부문에 작년보다 17.2% 증가한 184억 위안(25억 5,000만 달러)을 배정했다. 이 그룹은 내년까지 5,000개의 충전소를 건설할 계획이다.
최근 인수한 자회사 포테비오 뉴 에너지를 통해 2만 8,000개의 충전소를 운영하고 있는 페트로차이나는 회사 문서에서 석유, 가스, 수소, 충전을 제공하는 종합 스테이션에 초점을 맞춰 올해 마케팅 및 유통 부문 자본 지출을 49.8% 증가한 70억 위안으로 늘릴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한 올해 1,000개의 전기차 배터리 교체 스테이션을 추가로 건설할 계획이다.
각 충전소는 중국 내 273만 개의 공공 충전소 중 약 1%의 시장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중국의 대부분의 전기차 소유자는 주택 단지에서 차량을 충전할 수 있으므로 중국 내 860만 개의 충전소 중 68%가 공용 충전기가 아닌 저속 충전소이다.
2022년 하반기에 중국에서는 충전기 한 대당 7대의 전기차를 충전할 수 있었다. 이에 비해 중국 승용차 협회의 데이터에 따르면 미국과 유럽의 충전기당 전기차 비율은 각각 14.6대, 17.6대였다.
중국의 충전 시장은 또한 매우 세분화되어 있습니다. 전기자동차 충전 인프라 촉진 연합에 따르면 상위 5개 기업이 65.2%의 시장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상대적으로 적은 수의 전기차 운전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경쟁이 치열하기 때문에 많은 충전소의 이용률이 낮고 하루 중 많은 시간이 유휴 상태로 방치되어 있다.
라이스타드 에너지는 최대 업체인 스타 차지가 운영하는 충전소의 하루 수익은 9.58달러에서 9.94달러에 불과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2위 업체인 TELD가 운영하는 충전기는 하루에 12.77~13.25달러의 수익을 창출하는 것으로 추정했다.
칭다오 티굿 일렉트릭의 자회사인 TELD는 2022년에 2,600만 위안의 손실을 보고했다.
TELD는 중국의 전기차 시장이 여전히 발전하고 있으며 활용도가 높아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