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KT·HD현대사이트솔루션, 지능형 통신 케이블 보호 시스템 도입

KT와 HD현대사이트솔루션이 건설 중 통신 단선 사고 예방을 위해 이종 사업 간 데이터 융합을 추진한다.

KT는 HD현대사이트솔루션의 굴착기 운전자와 지역 담당 KT 직원을 연결해 통신 단선 사고 전 발생 가능성을 미리 알려주는 ‘지능형 통신 케이블 보호 시스템’을 도입했다고 9일 밝혔다.

해당 시스템은 굴착기 텔레매틱스 기능이 GPS 정보를 KT의 선로 관리 플랫폼 ‘아타카마(KT ATACAMA)’로 전달하고 아타카마가 광케이블 위치를 실시간으로 체크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해당 시스템을 장착한 굴착기는 작업을 시작할 때 원격 관리 플랫폼 ‘하이 메이트(Hi MATE)’로 위치 정보를 자동으로 전달하며, 플랫폼에서는 굴착기가 광케이블 50m 이내에 접근하면 이를 운전자에게 알려주게 된다.

동시에 이 내용은 해당 지역을 담당하는 KT 직원에게도 발신되고, KT 직원은 즉시 출동해 공사 현장 책임자 또는 운전자에게 공사 일시 중지를 요청할 수 있다.

아울러 운전자는 앞으로 HD현대인프라코어의 자체 플랫폼인 ‘마이 디밸론’을 통해서도 굴착기 GPS 정보를 기준으로 반경 50m 이내의 통신 케이블 유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KT 광화문 사옥 [KT 제공]
KT 광화문 사옥 [KT 제공]

기존에는 ‘광케이블 지킴이’ 앱을 통해 공사 관계자가 인근 광케이블 위치를 확인하도록 했지만, KT는 작업자의 실수 혹은 누락을 보완하기 위해 이를 시스템으로 자동화했다고 밝혔다.

HD현대사이트솔루션 김판영 전무는 "KT와의 데이터 융합 기술개발 협업은 통신 케이블 단선 사고를 예방하고 안전한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좋은 사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또 "앞으로도 사회에 더 많은 가치를 가져다 줄 수 있는 기술개발에 힘쓰겠다”라고 강조했다.

KT 네트워크기술장 구재형 상무는 “통신 단선 사고는 요즘 같은 디지털사회에서 단순한 통신 서비스 중단을 넘어 사회 전반의 시스템을 마비시키는 큰 피해를 야기한다”라고 밝혔다.

이어 “이종 산업의 데이터 결합으로 만든 지능형 통신 케이블 보호 시스템은 통신의 안정성을 비롯해 건설업 종사자에게도 불필요한 비용 부담과 공사 기간 지연을 방지하는 데 큰 역할을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