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경기 전망 BSI 95.5, 27개월 연속 부진
-제조업 95.9, 비제조업 95.2 동반 부진
-반도체 포함 전자 및 통신장비(105.9) 21개월 만에 100 돌파
경기 침체 장기화로 국내 기업들의 경기 전망은 여전히 부정적이지만, 국내 주요 산업인 반도체 경기 전망은 호전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내수와 투자는 부진할 것으로 전망됐으나 수출은 2022년 4월 이후 27개월 만에 긍정 전환했다.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는 매출액 기준 600대 기업을 대상으로 기업경기실사지수(BSI)를 조사한 결과 올해 6월 BSI 전망치가 95.5를 기록했다고 21일 밝혔다.
BSI가 기준치인 100보다 높으면 경기 전망에 대한 긍정 응답이 부정보다 많고, 100보다 낮으면 부정 응답이 더 많은 것을 의미한다.

BSI 전망치는 2022년 4월 이후 27개월 연속 100을 하회하고 있다.
업종별로 보면 제조업(95.9)과 비제조업(95.2)이 모두 부진했다.
제조업 BSI는 올해 3월(100.5) 기준선 100을 초과한 이후 3개월 연속 기준선 아래로 하락했다.
비제조업 BSI는 전월(94.1)보다 1.1p 상승했지만, 여전히 100 이하를 기록했다. 비제조업 BSI 부진은 올해 1월부터 6개월 연속 이어지고 있다.
제조업 세부 업종별로는 여름 특수가 기대되는 섬유·의복 및 가죽·신발(107.7)과 반도체 특수에 따른 전자 및 통신장비(105.9)가 호조 전망을 보였다.
특히 반도체가 포함된 전자 및 통신장비가 기준선 100을 돌파한 것은 2022년 10월 이후 21개월 만이다.
한경협은 이와 관련, 글로벌 수요 증가로 반도체 수출이 증가함에 따라 관련업종의 기업 심리가 개선된 것으로 해석했다.
기준선 100에 걸친 3개 업종(목재·가구 및 종이, 의약품, 식음료 및 담배)을 제외한 나머지 5개 업종은 업황 부진이 전망됐다.

이 5개 업종은 자동차 및 기타운송장비 97.1, 석유정제 및 화학 96.8, 금속 및 금속가공 제품 91.2, 비금속 소재 및 제품 86.7, 일반·정밀기계 및 장비 83.3으로 기준선을 밑돌았다.
비제조업 세부 업종(총 7개) 중에서 방학 수요 증가가 기대되는 운수 및 창고(115.4)와 전문, 과학·기술 및 사업지원 서비스(115.4)의 업황 개선이 예상됐다.
나머지 5개 업종은 도·소매 94.3, 정보통신 94.1, 여가 숙박 및 외식 85.7, 전기 가스 수도 73.7으로 업황이 부진할 것으로 전망했다.
부문별 전망치를 살펴보면 수출(101.0)이 중동 정세의 완화와 반도체 호조 등으로 긍정적 전망으로 전환됐다. 수출이 기준선 100을 상회한 것은 2022년 4월(97.4) 이후 27개월 만이다.

수출을 제외한 나머지 부문들은 부정적 전망이 이어졌다.
자금 사정(94.0), 투자(95.8), 채산성(96.3), 내수(95.5), 고용(96.9), 재고(102.6) 등 모든 부문에서 전망은 어두웠다. 재고는 기준선 100을 넘으면 재고 과잉을 의미한다.
올해 5월 BSI 실적치는 96.9로, 전월(94.9) 대비 2.0포인트 상승했지만, 기업들의 실적 악화는 이어지고 있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내수와 투자 부진이 지속되고 있지만 반도체와 수출 업황 개선으로 경기회복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라며 "수출 호조가 실물경기 전반으로 확산할 수 있도록 내수 촉진과 투자 지원책을 통해 기업 활력을 높여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