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엔비디아, 중동 시장 진출…오레두와 AI 기술 협력

미국 반도체 기업 엔비디아가 미국 정부의 인공지능(AI) 최첨단 칩 수출 제한에도 중동 시장에 진출을 가속화하고 있다.

23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엔비디아는 카타르 통신 그룹인 오레두가 소유한 중동 5개국에 위치한 데이터센터에 AI 기술을 제공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이 계약은 중국 기업이 중동 국가를 최신 AI 기술에 접근하는 것을 막기 위해 미국의 칩 수출을 제한한 상황에서 엔비디아가 대규모로 진출한 것이다.

오레두 기업은 카타르, 알제리, 튀니지, 오만, 쿠웨이트, 몰디브에 있는 데이터 센터의 고객에게 엔비디아의 AI 및 그래픽 처리 기술에 직접 액세스할 수 있는 최초의 기업이 될 것이라고 성명에서 밝혔다.

엔비디아의 로니 바시스타 통신 담당 수석 부사장은 이 기술을 제공함으로써 오레두가 고객이 제너레이티브 AI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하는 데 더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오레두 아지즈 알루스만 파흐루 CEO는 로이터와 인터뷰에서 "이 계약 덕분에 우리의 B2B 고객은 앞으로 18개월에서 24개월 동안 경쟁업체가 제공하지 않을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될 것이다"라고 말했다.

엔비디아
[AFP/연합뉴스 제공]

오레두는 또한 데이터 센터에 어떤 유형의 엔비디아 기술을 설치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가용성과 고객 수요에 따라 달라질 것이라며 정확히 밝히지 않았다.

미국은 일부 엔비디아 기술의 중동 수출을 허용하고 있지만, 가장 정교한 칩의 수출은 제한하고 있다.

파흐루 CEO는 오레두는 현재 40메가와트에 더해 20~25메가와트를 추가로 증설하기 위해 10억 달러를 투자하고 있으며, 10년 말까지 그 용량을 거의 3배로 늘릴 계획이라고 밝혔다.

양사는 최근 덴마크 코펜하겐에서 열린 TM포럼에서 이 계약을 체결하였으며, 계약 규모는 공개되지 않았다.

이 회사는 작년에 쿠웨이트의 자인 및 두바이의 TASC 타워 홀딩과 계약을 통해 중동 최대의 타워 회사를 설립한 데 이어 데이터 센터를 별도의 회사로 분리했다.

또한 오레두는 해저 케이블과 광케이블 네트워크를 별도의 법인으로 분리할 계획도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