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기업의 가치평가 제고를 위해 정부가 추진하는 밸류업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준 정부기관인 신용보증기금에서 각종 프로그램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신용이 비교적 낮은 중소기업·스타트업을 중심으로 보증 및 금융 지원을 제공하는 신보의 지원 효과에 기대가 모인다.
이에 올해 추진된 지원 프로그램의 차별점과 예상 효과 등을 정리했다.
▲ 상장사 밸류업 위한 가이드라인
최근 정부는 국내 기업이 주식 시장에서 상대적으로 저평가받는 일명 ‘코리아 디스카운트’ 현상 해소를 위해 외국의 밸류업 프로그램을 도입하고 있다.
특히 한국거래소는 지난 5월 밸류업 계획 가이드라인을 확정하고 배포한 바 있다.
가이드라인에는 재무지표 현황진단에 R&D 투자지표 추가, 투자 계획수립 시 사업 특성과 성장단계에 따른 기업별 자율공시 가능 조항 등이 포함됐다.
주요 골자는 각 기업의 현황을 진단하고 밸류업 목표를 설정, 계획 수립, 이행 및 평가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러한 과제 수행 시 금융적인 지원을 제공하는 방안 등이 담겼다.
밸류업 프로그램은 기본적으로 모든 상장사를 대상으로 하는 가치 제고 정책이지만, 비교적 취약한 위치에 있는 중소기업에 더 많은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한국거래소의 밸류업 가이드라인이 기업 스스로 가치를 높이는 방법을 제시했다면, 외부의 조력이 필요한 중소기업에 도움을 주는 역할은 주로 신용보증기금과 같은 준정부기관에서 진행하고 있다.
과거 신보의 특징적인 지원 프로그램으로는 경영에 문제를 겪고 있는 기업을 대상으로 재도약 기회를 제공했던 ‘중소기업 밸류업 보증’ 제도가 있다.
이는 경영 위기를 겪고 있는 중소기업 중 미래 성장 가능성이 보이는 기업에 최대 50억 원의 신규 보증을 지원하고, 금리우대 및 보증료 차감 등의 혜택을 제공하는 제도다.
▲ 밸류업 프로그램 효과와 한계는?
정부의 밸류업 프로그램의 핵심은 기업이 스스로 회사의 가치를 높일 방안을 마련하도록 촉진하는 것이다.
또 기업이 고안한 방안을 매년 공시함으로써 대중의 신뢰를 높이고 자연스러운 가치 상승을 유도한다는 전략이다.
공시는 세 단계로 이루어지는데, 첫 단계는 자본비용과 수익성·지배구조·주가 등의 시장 평가를 토대로 기업가치를 분석하고 스스로 평가한 적절성을 공개한다.
이후 중장기적인 기업가치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실행할 방안 등을 정해 공시하는 것이 2단계다.
끝으로 2년 차부터는 전년도 계획에 대한 이행 수준과 평가 등을 같이 공시하게 된다.
정부의 목표는 모든 상장사가 기업가치 제고 계획을 연 1회 이상 하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현재 자산이 5000억 원 이상인 코스피 상장사는 ‘기업 지배구조 보고서’를 의무적으로 공시해야 하는데, 오는 2026년부터는 이를 상장사 전체로 넓히겠다는 목표다.
한편 일각에서는 이번 밸류업 프로그램이 강제성이 부족해 기업의 선의에 기대야 한다는 비판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특히 이번 밸류업 프로그램이 상과 벌이 정해진 강제성 제도가 아닌 인센티브형 자율 프로그램이라는 점이 주로 지목된다.
기업이 형식적으로만 프로그램에 참여하거나 아예 관련 보고서를 공시하지 않아도 사실상 제재할 절차가 존재하지 않는 것이다.
지난 5월 최종 가이드라인이 공개되고 현재까지 제고 계획을 공시한 상장사는 KB금융, 키움증권, 에프앤가이드, 우리금융의 4곳뿐이다.
또 KB금융과 우리금융은 프로그램에 참여할 계획이라는 의사만 먼저 밝히면서 실질적인 프로그램 진행 시기는 늦춰질 것이라는 시각도 있다.
▲ 밸류업 프로그램 성공 사례는?
해외에서 성공적인 기업 밸류업으로 평가받는 대표적인 사례로는 일본을 들 수 있다.
일본의 밸류업 프로젝트는 2014년부터 시작됐는데, 기업지배구조 개혁이라는 목표를 위해 자기자본이익률(ROE)과 주가순자산비율(PER)을 높이는 투자정책을 이어왔다.
당시 중요시했던 선순환 포인트는 해외 금융기관의 투자 확대를 위한 ESG 경영 확대를 꼽을 수 있다.
2015년 일본 공적연금(GPIF)은 투자운용원칙에 ‘ESG 요소를 반영해야 한다’는 조항을 추가했으며, 이후 지난해까지 약 324개 기관투자자에게 자금을 조달받은 바 있다.
아울러 우리나라의 기업지배구조 개편안 공개가 자율 사항인 것과 달리 도쿄증권거래소는 2015년에 이미 기업지배구조 공시를 의무화했으며, 2021년에는 더 엄격한 모범규준을 추가했다.
한편 이러한 밸류업 프로그램이 진행된 후 기업가치 상승세가 이어지면서 지난 1월까지 닛케이224와 토픽스 등 대표적인 일본 시장은 각각 24.8%, 22.5%의 상승률을 보이며 미국의 28.2%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특히 원래 높은 성장 잠재력을 평가받고 있던 기업뿐만 아니라 회사의 총자산보다도 시가총액이 낮은 부실기업이 상당 부분 되살아났다는 부분도 눈여겨볼 만하다.
지난 2022년과 2023년을 비교했을 때, 기업가치 저조의 기준인 PBR 1배 미만 기업이 약 180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국내 기업의 가치 제고를 위해서 인센티브형 밸류업 프로그램과 함께 기업 지배구조 개편의 의무화가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