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올해 상반기 내수기업 매출 4년만에 역성장

경기 불황이 이어지면서 올해 상반기 내수기업의 매출액이 코로나19 팬데믹이 발생한 2020년 이후 전년 동기와 비교해 처음으로 감소한 것으로 분석됐다.

수출기업의 매출은 10% 넘게 성장했으나 1위 기업인 삼성전자를 제외하면 매출액 증가 폭이 크게 떨어지는 착시 효과가 나타났다.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가 13일 사업보고서 제출 대상인 비금융업 법인 814개사의 경영 성과를 분석한 결과 올해 상반기 이들 기업의 전체 매출액은 지난해 동기 대비 6.7% 증가했다.

다만 이런 증가세는 수출기업(194개사)의 매출액이 13.6% 증가한 데 따른 것으로, 나머지 내수기업(620개사)의 매출액은 전년 동기보다 1.9% 감소했다. 이는 코로나 19(4.2%) 시기 이후 전년 동기 대비 매출액이 감소한 것이다.

한경협
[한국경제인협회 제공]

한경협은 한국은행의 기준을 준용해 매출액 중 수출 비중이 50% 이상인 기업을 수출기업, 그 미만인 기업을 내수기업으로 분류했다.

내수기업의 매출액을 수출부문과 내수부문으로 나눌 때 수출부문은 올해 상반기 3.7% 증가했으나 내수부문은 2.4% 감소하여 전체 매출액의 감소(-1.9%)를 주도했다.

매출액이 줄어든 내수기업을 업종별로 보면 지주회사(-17.6%), 도·소매업(-6.5%), 전기·가스·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5.5%), 제조업(-1.1%) 순으로 나타났다.

한경협은 지주회사의 매출 감소는 자회사 실적 부진에 따른 배당 축소, 도·소매업의 감소는 소비 부진의 영향이 큰 것으로 풀이했다.

올해 상반기 수출기업 매출은 전년 대비 13.6% 반등했으나, 가장 규모가 큰 삼성전자를 제외하고 산정하면 5.9% 증가에 그쳤다.

기업[무료이미지]

1위 기업의 실적회복에 의한 착시효과가 빚어진 것도 2020년 이후 4년 만에 처음이다.

아울러 올해 상반기 수출기업 매출 증가세는 지난해 매출액 감소(-7.3%)에 따른 기저효과가 작용한 측면도 있다고 한경협은 분석했다.

아울러 올해 상반기 기업 투자 역시 2020년 이후 처음으로 감소(-8.3%)했다.

전체 기업 투자 증가율은 2020년 16.9%에서 2022년 9.5%로 낮아졌다가 지난해 15.7%로 반등했으나 올해 들어 다시 대폭 줄었다. 이에 경제 전반의 성장 동력이 위축될 우려가 나온다고 한경협은 설명했다.

수익성 지표인 매출액영업이익률은 올해 상반기 7.4%로 전년(2.2%)보다 개선됐다.

또한 기업의 매출액 대비 영업 관련 비용 비중은 지난해 97.8%로 2020년 이후 최대치였으나 올해 상반기에는 92.6%로 최저를 기록했다.

특히 내수기업은 올해 매출액이 1.9% 줄고 영업이익은 흑자로 전환되는 '불황형 흑자'의 모습을 보였다.

기업들의 비용절감 노력에도 코로나19 이후 전 세계적인 고금리 장기화로 이자비용이 크게 늘며 올해 상반기 전체기업 중 영업이익으로 이자비용도 갚지 못하는 '이자보상배율' 1미만 기업(취약기업) 비중은 2020년 이후 최대치를 보였다.

[한국경제인협회 제공]
[한국경제인협회 제공]

이 비중은 2021년 33.8%였으나 금리 상승기를 거치며 지속 증가해 지난해부터 취약기업의 10곳 중 4곳을 넘어섰다.

작년 취약기업 비중이 42.8%에서 올해 상반기 44.7%로 늘었다.

코로나 경제위기 때도 늘었던 기업투자가 올해 상반기 감소로 전환됐다.

올해 상반기 기업 투자는 8.3% 줄었다. 이는 2020년 이후 처음으로 감소한 것으로 경제 전반의 성장동력이 위축될 우려도 커졌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내수 부진이 지속되는 가운데 글로벌 경기 위축과 반도체 등 주력업종 하락 사이클 진입 등으로 지금의 수출 실적이 정점이 아니냐는 위기감도 커지고 있다"며 "가계 소비와 기업 투자 활성화를 위해 유연한 통화정책, 투자지원 확대, 규제 완화 등 전방위적인 경제살리기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