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지난해 일자리 집계 이래 증가폭 최소…20대 첫 감소

지난해 일자리 증가폭이 20만개(0.8%)에 그치며 역대 최소를 기록했으며 20대에선 처음으로 감소했다.

통계청이 6일 발표한 '2023년 일자리행정통계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연간 일자리는 2666만개로 전년보다 20만개(0.8%) 늘었다.

증가 폭과 증가율이 2016년 관련 통계 작성 이래 가장 작은 수준이다.

작년 일자리 증가 폭 축소에는 기저효과와 일부 산업군의 일자리 감소가 영향을 미쳤다고 통계청은 분석했다.

2021·2022년에 일자리가 각각 85만개 이상 늘었다.

전체 일자리 가운데 전년과 동일한 근로자가 점유한 지속 일자리는 2064만개(77.4%), 퇴직·이직 등으로 근로자가 대체된 일자리는 304만개(11.4%), 기업 생성이나 사업 확장으로 생긴 신규 일자리는 298만개(11.2%)로 나타났다.

기업 소멸과 사업 축소로 소멸 일자리 277만개가 발생했다.

회사법인 일자리가 1265만개(47.4%)로 가장 많았다.

뒤를 이어 개인기업체(31.1%), 정부·비법인단체(11.5%), 회사이외 법인(10.0%) 순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자리행정통게
[통계청 제공]

지속일자리는 정부·비법인단체(84.2%), 대체일자리는 회사법인(14.2%), 신규일자리는 개인기업체(16.9%)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신규일자리(298만개)는 사업확장(205만개), 기업생성(93만개)으로 창출되었고, 소멸일자리(277만개)는 사업축소(185만개), 기업소멸(92만개)로 사라졌다.

전체 일자리 중 영리기업에서 제공한 일자리는 2095만개(78.6%)이고, 비영리기업에서 제공한 일자리는 570만개(21.4%)로 나타났다.

일자리 형태별로는 대기업은 지속일자리 비중(83.6%)이 가장높고, 대체일자리 비중(11.2%)이 가장 낮았다.

반면 중소기업은 신규일자리 비중(14.8%)이 가장 높고, 지속일자리 비중(73.9%)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산업별 일자리 규모는 제조업(19.2%)이 가장 컸다. 이어 도소매(12.1%), 보건‧사회복지(9.9%), 건설업(8.3%) 순으로 규모가 컸다.

산업별로 보면 전년보다 보건·사회복지업(10만개), 제조업(6만개), 숙박·음식업(6만개), 전문·과학·기술업(4만개) 등에서 일자리가 늘었다.

반면 금융·보험업은 6만개 감소했다. 금융권 지점 축소와 희망퇴직, 신규 채용이 줄어든 영향으로 풀이된다.

채용
[연합뉴스 제공]

운수·창고업과 도소매업도 각각 5만개, 4만개 줄어들었다.

20대 근로자가 많이 종사하는 도소매업 일자리 감소는 20대 일자리 위축으로 이어졌다.

전년보다 20대 일자리는 8만개 줄어, 역대 처음으로 감소했다.

40대 일자리도 11만개 줄었다.

60세 이상과 50대는 각각 38만개, 2만개 늘어 일자리 증가세를 주도했다.

일자리 비중은 50대 일자리가 637만개(23.9%)로 가장 많고, 40대 620만개(23.2%), 30대 529만개(19.8%) 순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 규모별로는 대기업 일자리가 441만개로 전년보다 4만개 줄었다. 2017년 이후 처음 감소 전환했다.

중소기업 일자리는 1천654만개로 전년보다 15만개 늘었다.

일자리는 근로자가 점유한 고용 위치를 의미하며 취업자와는 다른 개념이다. 예컨대 한 사람이 주중에는 회사에 다니며 주말에는 학원 강사를 한 경우 취업자는 1명이나 일자리는 2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