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LG전자, 스마트홈 ‘씽큐’ 플랫폼 API 개방

LG전자가 자체 개발한 스마트홈 플랫폼인 ‘LG 씽큐’의 앱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를 개방한다.

LG전자는 최근 LG 씽큐의 API 개방을 위한 ‘LG 스마트솔루션 API 개발자’ 웹사이트를 열었다고 17일 밝혔다.

API는 서로 다른 소프트웨어 간의 데이터를 교환하고 기능을 공유할 수 있는 일종의 ‘디지털 연결 고리’이며, 이를 통해 개발자들은 다양한 LG전자 제품 기능을 자신의 프로그램이나 시스템과 연동할 수 있다.

현재 LG 씽큐의 API는 개인 사용자용 ‘씽큐 API’와 기업 파트너용 ‘씽큐 비즈니스 API’로 구성된다.

해당 시스템은 각 건물 내부에 설치된 제품의 원격 제어와 플랫폼 통합 등에 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먼저 개인을 위한 씽큐 API는 스마트홈 플랫폼에서 LG 씽큐 앱에 등록된 가전을 제어하고 모니터링하는 것이 주요 기능이다.

이번 API 개방 이후 LG 가전 이용자들은 기존에 사용하던 타사의 스마트홈 플랫폼 ‘홈 어시스턴트’에서도 총 26종의 LG 가전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LG전자의 스마트홈 플랫폼 '씽큐' [LG전자 제공]
LG전자의 스마트홈 플랫폼 '씽큐' [LG전자 제공]

이어 기업용 씽큐 비즈니스 API는 상업용 냉난방공조 시스템과 사이니지 등 대형 제품 통합 관리에 특화됐다.

씽큐 비즈니스 API를 활용하면 주거용 대형 빌딩 관리 앱에 LG 가전을 연동할 수 있어 입주민들이 공용 공간에 비치된 LG 가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빌딩 관리자 역시 온·습도 센서 연동을 통해 건물의 이상 상태를 쉽게 파악하고 문제 발생 시 알림을 받아보게 된다.

한편 LG전자는 올해 IoT 연결성 강화를 위해 스마트홈 플랫폼 기업 ‘앳홈’을 인수한 바 있다.

이를 기반으로 외부 제품과 서비스를 LG 씽큐 플랫폼과 다수 연동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앳홈의 스마트홈 허브 '호미(Homey)'는 현재 5만여 종의 가전과 IoT 기기가 연결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LG전자 관계자는 “씽큐 API 공식 개방을 통해 다양한 스마트홈 파워유저들과 B2B 사업자와의 협업을 확대하겠다”라고 말했다.

이어 “앳홈 앱스토어에 필립스, 아카라 등 1000여 개 글로벌 브랜드 앱이 등록된 만큼 각각의 시너지 창출에 집중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